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자료사진)
5일 오전 실시된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 도발에 대한 한미연합 '무력시위'(탄도미사일 사격)'는 문재인 대통령이 사실상 진두지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문 대통령이 '한미 미사일 연합 무력시위'를 미국 측에 먼저 제안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오후 북한의 도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보고받은 뒤 "우리도 빨리 미국과 협의를 해서 (미사일을) 쏘자"며 미국 측과 의견을 조율해볼 것을 지시했고, 우리 측의 제안 이후 1시간 만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고무된 어조로 "먼저 이야기를 해줘서 고맙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 관계자는 "어제밤에 (문 대통령의 이런 지시 내용을) 듣고 깜짝 놀랐다"며 "대통령이 (북한 등 외부로부터 도발을) 당하시면 가만히 안 계실 것 같다"고 말했다.
5일 오전 동해안에서 실시된 한미연합 미사일발사 훈련에서 고도의 정밀도를 자랑하는 현무-2가 발사되고 있다. (사진=합참 제공)
문 대통령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이날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독일로 출국하면서도 "이것(한미 연합 탄도미사일 사격)이 '무력시위'로 (언론에) 나가는 것이죠?"라고 재확인하며 이번 훈련이 북한의 도발에 대한 '무력시위'의 성격임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의 이런 행보는 대화와 제재·압박의 병행이라는 대북기조가 '대북 유화책'으로 오해받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동시에 북한에 대해 '말 대 말, 행동 대 행동'으로 응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전날 데이빗 캐머런 전 영국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도 "북한이 한미 정상이 협의한 평화적 방식의 한반도 비핵화 구상에 호응하지 않고 레드라인을 넘어설 경우 우리가 어떻게 대응할지 알 수가 없다"고 강력 경고했다.
여기에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확보한 한반도 상황에 대한 주도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며 향후에도 남북 문제에 대해 '운전대'를 잡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에서도 대화와 제재·압박의 병행이라는 정부의 대북정책 구상에 대한 국제적 지지를 얻는 것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일(미국 현지시간) 방미(訪美) 마지막 일정으로 가진 동포간담회 인사말을 통해 "(이제는) 남북관계에서 주변국에 기대지 않고 우리가 운전석에 앉아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