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색상을 두고 논란이 있는 광화문 현판 색상을 새로 정하기 위해 문화재청이 올해 12월까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대표 김원용)과 함께 ‘광화문 현판 색상 과학적 분석 연구’를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현재 걸려있는 광화문 현판은 흰색 바탕에 검은 글자로,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리건판(필름 이전에 사용된 사진 저장물, 1916년경 촬영)과 일본 동경대학교가 소장한 유리건판(1902년경 촬영) 속의 현판 색상을 고증의 근거자료로 삼아 만들어졌다.
하지만 지난해 2월, 지금의 현판 색상과는 달라 보이는 미국 스미소니언박물관 소장의 현판 사진이 새롭게 발견되면서, 색상 자문회의와 문화재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새롭게 과학적 분석 연구를 하게 된 것이다.
연구는 현판 색상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색상의 실험용 현판을 축소 모형으로 제작하여 실험용 현판에 인공조명을 비춰보는 실험을 마친 후에, 실물 크기의 실험용 현판을 시간과 날씨 등을 고려하여 광화문 현판에 고정한 뒤 촬영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게 된다.
실험용 현판은 ▲ 흰색 바탕에 검은색‧코발트색 글씨, ▲ 검정 바탕에 금색‧금박‧흰색 글씨, ▲ 옻칠 바탕에 금색‧흰색 글씨, ▲ 코발트색 바탕에 금색‧금박 글씨 등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된다.
사진촬영은 고(古)사진의 촬영방법과 같은 유리건판 전용 카메라와 현대적 촬영방법인 디지털카메라, 두 가지를 모두 활용하여 촬영한 다음 고사진과 비교분석하여 광화문 현판의 본래 색상을 밝혀낼 예정이다.
다만, 이달 말부터 시간‧날씨 등을 고려하여 진행예정인 실물 크기의 실험용 현판에 대한 현장 촬영 시에는 고사진의 촬영지점을 추정하여 촬영하므로, 광화문 주변의 일부 도로에 대한 차량 통제도 계획되어 있어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현재 재제작 중인 광화문 현판은 틀 제작과 각자(刻字) 작업까지는 완료된 상태다. 문화재청은 "과학적 분석을 통한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전문가 자문회의와 문화재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광화문 현판 색상을 결정하고 이후 단청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