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영화

    [리뷰] '공작' 씨실은 '돈' 날실은 '혼'

    첩보물로 들춰낸 남북 대립史 민낯
    조직과 개인 "난 왜 공작원이 됐나"
    추한 진실과 마주한 주인공 딜레마
    맹목의 그늘…"그런 우린 행복한가"

    영화 '공작' 스틸컷(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지금 인류의 폭발적인 성장을 있게 한 지적 혁명으로 꼽히는 화폐. '이 물건은 이만큼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한다'는 사회적 약속 아래 만들어진 화폐는, 인류를 둘러싼 물리적·심리적 한계를 깨고 다양한 미래를 구상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인류의 신념 체계를 대표하는 종교·이데올로기 등도 비슷한 맥락에서 우리를 특별한 존재로 여기도록 만들었다. 신으로부터 선택받았다는, 혹은 다른 생물과 달리 생각하고 실천한다는 확고한 믿음은 인류가 스스로를 지구의 지배자로 생각하게끔 도왔다.

    '돈'과 '혼'으로도 부를 수 있을 법한 위 두 가치가, 과연 인류를 행복의 길로 이끌어 왔는지는 조금 더 곱씹어봐야 할 문제다. 안타깝게도 역사는 이러한 낭만주의적인 견해와는 크게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는 까닭이다.

    실화에 바탕을 둔 영화 '공작'은 돈을 씨실로, 혼을 날실로 삼아 한반도 분단 상황을 정권 강화에 활용해 온 남북 권력자들의 민낯을 오롯이 비춘다. 이를 통해 서로 충돌하는 것처럼 보이는 돈과 혼이 실은 하나의 몸을 공유한 두 얼굴이라는 사실을 드러낸다.

    "나는 왜 공작원이 되었는가"라는, 극중 딜레마에 빠진 주인공이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처럼, 영화 '공작'은 관객들 앞에 "우리는 왜 돈과 혼을 좇는가"라는 물음을 내놓는다. 그것들을 목적 아닌 수단으로 대함으로써 더 나은 사회를 열 수도 있다는 외침은 아니었을까.

    1993년 북한 핵 개발을 둘러싸고 한반도 위기가 고조된다. 군 정보사 소령 출신으로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국가정보원 전신)에 스카우트 된 박석영(황정민)은 '흑금성'이라는 암호명으로 북핵 실체를 캐기 위해 북측 고위층 내부로 잠입하라는 지령을 받는다.

    안기부 해외실장 최하성(조진웅)과 대통령 외에는 가족조차도 모르게 대북 사업가로 위장한 박석영은 베이징 주재 북 고위간부 리명운(이성민)에게 접근한다. 흑금성은 수 년에 걸친 공작 끝에 리명운과 두터운 신의를 쌓고, 그를 통해 북측 권력층의 신뢰를 얻는 데 성공한다.

    그 와중에 흑금성은 1997년 남측 대선 직전 이뤄진 남북 수뇌부 사이 은밀한 거래를 감지한다. 조국을 위한다는 신념에 모든 것을 걸고 공작을 수행하던 흑금성은 걷잡을 수 없는 갈등에 휩싸인다.

     

    영화 '공작'은 그간 널리 알려졌다고는 하지만, 누구도 대놓고 말하지는 못해 온 남북 이야기를 전면에 내세운다. 분단 이후 65년 동안 남과 북은 서로를 적으로 규정함으로써 각자 정권을 유지·강화시켜 왔다는 점 말이다.

    몇 차례 민주정권에서는 약화됐다고 하지만, 우리는 '북풍'으로 불리우는, 남측 정권이 국내 이슈로 위기에 몰릴 때마다 구세주처럼 등장했던 북측의 무력도발 등을 기억한다. 이 영화는 남과 북 권력자들의 은밀한 거래로 이러한 일들이 벌어져 왔다는 점을 강조한다. 남측 정권이 위기 돌파구를 얻는 대가로 북측 정권에 건넨 것은 돈이었다.

    자본과 사상은 지금까지 인류를 이끌어 온 동력으로 지목된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이러한 가치를 발전시켰는지는 잊은 채, 어쩌면 맹목적으로 그것만을 좇고 있는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역사는 인간 개개인이 얼마나 행복해졌는지에는 관심이 없었다는, 책 '사피엔스'를 쓴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의 통찰은 영화 '공작'에서도 오롯이 재현된다.

    영화 '공작'의 배경은 1990년대 중후반이다. 남측은 빅이벤트인 총선과 대선으로 정권 교체를 열망하던 때였고, 북측은 '고난의 행군'으로 불리우는 최악의 식량난으로 수십만명이 아사하면서 절대 권력이 흔들리던 시기였다. 이 지점에서 남북 권력자들의 이해관계는 100% 맞아떨어진 셈이다.

    이 영화는 극중 '흑금성'으로 불리우는 박석영과 북 고위간부 리명운 사이 밀고 당기는 에피소드를 통해 당대 남북의 이러한 시대상을 면밀히 전달하려 애쓴다. 남북 분단이라는 기나긴 터널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극중 주인공들이 분단이라는 한반도 시대상과 맞물리면서 길어 올리는, 개인과 시대의 변곡점은 그래서 더욱 의미심장하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