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인체 '자연살해 세포' 무력화 시키는 코로나 바이러스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IT/과학

    인체 '자연살해 세포' 무력화 시키는 코로나 바이러스

    국내연구진, 코로나 환자에서 나타나는 자연살해 세포 변화 규명

    KAIST는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 연구팀이 충남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김연숙, 천신혜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코로나19 환자들에서 자연살해 세포의 항바이러스 기능이 약화돼 있고, 이러한 기능 변화는 경증 코로나19 환자에서는 일주일 내로 사라지지만, 중증 환자에서는 오래 지속됨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질병 경과에 따른 코로나19 환자의 자연살해 세포군의 변화. 과기부 제공질병 경과에 따른 코로나19 환자의 자연살해 세포군의 변화. 과기부 제공코로나19 환자들에게서 '자연살해 세포'의 항바이러스 기능이 약화돼 있고, 이러한 기능 약화가 경증 코로나 환자에게서는 일주일 내로 사라지지만, 중증 환자에게서는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 연구팀이 충남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김연숙, 천신혜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코로나19 환자들에서 자연살해 세포의 항바이러스 기능이 약화돼 있고, 이러한 기능 변화는 경증 코로나19 환자에서는 일주일 내로 사라지지만, 중증 환자에서는 오래 지속됨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우리 몸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이에 대항해 일차적으로 선천면역 반응이 나타나며, 항바이러스 선천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주된 세포가 바로 '자연살해 세포'다. 자연살해 세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직접 죽이는 세포독성 자연살해 세포인데, 코로나19 환자에서 이러한 세포독성 자연살해 세포의 수나 기능이 감소돼 있다는 보고는 있었다. 그러나 자연살해 세포의 구체적인 변화나 기능감소 기전에 대해서는 규명된 바가 없었다.
     
    KAIST-충남대병원 공동연구팀은 한국인 코로나19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 초기부터 회복 시까지 추적 연구를 수행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에서 질병의 진행 과정에 따라 자연살해 세포에 일어나는 변화를 최초로 규명했다.

    공동연구팀은 정상인이나 독감 환자와는 달리, 코로나19 환자에게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비정형 자연살해 세포를 발견했고, 이러한 비정형 자연살해 세포가 일반적인 자연살해 세포보다 세포독성 기능이 감소해있음을 밝혔다.
     
    연구팀은 이러한 비정형 자연살해 세포들이 질병의 중증도와 관계없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들에서 공통적으로 질병 초기에 빠르게 증가하며, 이로 인해 코로나19 환자의 선천면역 반응이 약화되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코로나19 환자들의 질병 진행 과정에서 자연살해 세포 특성을 추적 관찰한 결과, 중증 코로나19 환자에서 이러한 비정형 자연살해 세포들의 증가 상태가 더 장기간 지속되며 이는 선천면역 반응의 손상과 연관됨을 밝혔다.

    이번 연구의 제1 저자인 KAIST 임가람 박사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에서 특징적으로 비정형 자연살해 세포들이 증가해 있음을 발견했다"며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서는 보이지 않는 이러한 자연살해 세포 변화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의 임상적 특징을 이해하고, 중증 환자에서 선제적인 치료를 조기에 시작하는 임상적 근거가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