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1인당 생애주기적자 17세에 3437만 원으로 최대

경제 일반

    1인당 생애주기적자 17세에 3437만 원으로 최대

    최대 흑자는 44세에 1594만 원…28세부터 흑자 진입, 60세에 다시 적자로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2019년 기준으로, 우리 국민이 일생에서 가장 큰 적자를 기록하는 때는 17세이고 적자 규모는 3437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5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19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연령 변화에 초점을 두고 개인의 관점에서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2019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2019년 생애주기적자 총량값은 전년인 2018년 대비 2.3% 증가한 132조 9천억 원이었다.

    소비는 2018년보다 4.6% 증가한 1102조 7천억 원, 노동소득은 전년 대비 4.9% 증가한 969조 8천억 원이었다.

    2019년 국민이전계정. 통계청 제공2019년 국민이전계정. 통계청 제공

    유년층 147.5조, 노년층 117.1조 적자…노동연령층 131.7조 흑자


    생애주기적자는 소비에서 노동소득은 뺀 값으로,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크면 흑자가 된다.

    통계청은 "2019년 소비 증가 폭이 노동소득 증가 폭보다 커 생애주기 적자 규모가 전년보다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연령계층별로는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47조 5천억 원과 117조 1천억 원 적자, 노동연령층(15~64세)은 131조 7천억 원 흑자가 났다.

    유년층의 경우 소비는 2018년 대비 3.9% 증가한 147조 5천억 원인데 노동소득이 전혀 없어 소비 규모가 고스란히 적자 규모로 이어졌다.

    2019년 노동연령층은 소비는 전년보다 3.8% 증가한 805조 5천억 원, 노동소득은 4.5% 증가한 937조 2천억 원이었다.

    노년층은 소비는 2018년 대비 9.9% 늘어난 149조 7천억 원, 노동소득은 16.4% 많은 32조 6천억 원을 기록했다.

    적자 재진입 연령, 2010년 56세에서 2019년 60세로 높아져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연령 증가에 따라 '적자→흑자⟶적자' 순서의 3단계 구조로, 28세에 흑자 진입 이후 60세에 다시 적자로 전환됐다.

    적자 재진입 연령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59세를 유지하다 2019년 60세로 상향됐다.

    국민이전계정 작성 첫해인 2010년에는 적자 재진입 연령이 56세였는데 그 연령이 60세에 이르기는 2019년이 처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약 10년 만에 적자 재진입 연령이 4세나 늘어난 것은 생계를 위해서든 자기만족을 위해서든 노동시장에 그만큼 오래 머물게 됐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2019년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17세에서 3437만 원으로 최대였고, 44세에 1594만 원으로 최대 흑자가 나타났다.

    소비는 17세에 3462만 원으로 정점을 찍었고, 노동소득은 41세에서 3638만 원으로 최대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