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현장 이탈' 인천 사태 이후…경찰 "무력 정비" 행보

'현장 이탈' 인천 사태 이후…경찰 "무력 정비" 행보

핵심요약

인천 흉기 난동 사건과 서울 신변 보호 대상자 피살 등 경찰의 현장 대응 능력에 대한 부실 논란이 이어지자 경찰은 연일 '현장 대응력 강화'와 '엄정한 법 집행'에 주력하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달 김창룡 경찰청장이 경찰의 과감한 대응을 주문한데 이어 서울경찰청은 지난 1일 신임경찰들의 '현장 대응력 강화'를 위한 특별 교육에 나섰습니다. 같은 날 새벽 경남 김해시에선 경찰이 실탄을 쏴 범인을 검거하기도 했습니다. 현장에선 적극적 현장대응 주문에 부담감을 느낀다고도 토로했습니다.

'인천 흉기 난동' 등 경찰 대응 논란일자 "무력 정비"나서
지난달 김창룡 경찰청장 경찰 적극 대응 주문
지난 1일 '신임경찰들 '현장 대응력 강화'위한 특별교육
일선에선 "물리력 행사에 소극적일 수밖에…아직까진 부담"
전문가들 "현장 훈련 일회성으로 끝나선 안 돼"

1일 서울경찰청에서 신임 경찰이 물리력 대응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1일 서울경찰청에서 신임 경찰이 물리력 대응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인천 흉기 난동 사건과 서울 신변 보호 대상자 피살 등 경찰의 현장 대응 능력에 대한 부실 논란이 이어지자 경찰은 연일 '현장 대응력 강화'와 '엄정한 법 집행'에 주력하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1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1월 29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경찰관 1만 620명(중앙경찰학교 300~307기)을 대상으로 특별교육을 한다는 계획이다. 현장 대응력 강화를 위한 '경찰 재교육'에 나선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달 24일 김창룡 경찰청장은 '인천 흉기난동 사건' 부실대응과 관련, 경찰 전원에게 서한을 보내 "오늘부터 비상대응 체제로의 전환을 선언한다"며 "필요한 물리력을 과감히 행사하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런 기조에 발맞춰 서울경찰청은 1일 신임경찰들의 '현장 대응력 강화'를 위한 특별 교육에 나섰다. 서울청 기동대 소속 20명에 대한 경찰정신 교육 및 물리력 행사 훈련과 서울 강남경찰서 소속 15명에 대한 사격 훈련이 진행됐다.

이날 오전 강남서 소속 현장 배치 2년 미만의 신임 경찰관 15명(남 12명, 여 3명)이 사격훈련을 받았다. 5명씩 3개 조로 나뉜 이번 특별 훈련에서 이들은 각각 35발씩 2차례에 나눠 총 70발을 쐈다.

영점사격과 완사, 속사 순서로 진행된 훈련에 신임경찰관들은 진지한 표정으로 임했다. 사격지도관들은 신임경찰관들을 일대일로 지도하며 자세와 호흡 등을 점검했다. 기록사격 300점 만점 가운데 290점 이상을 받은 '마스터'들이 사격지도관으로 교육을 담당했다.

같은 날 오후 1시엔 서울경찰청에서 물리력 강화 훈련이 이어졌다. 총 20명(남성 18명·여성 2명)의 신임경찰관이 참여했다.

1일 서울경찰청에서 신임 경찰이 물리력 대응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1일 서울경찰청에서 신임 경찰이 물리력 대응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경찰 무도교육 훈련센터의 김영주 교수는 물리력 행사를 5단계로 나누며 소극적 저항·적극적 저항·폭력·흉기난동 등 피의자의 반응에 따른 물리력 행사 방법을 교육했다. 위험단계 및 상황별 대응훈련과 수갑, 삼단봉, 테이저건, 권총 훈련이 이어졌다.

이보다 앞선 경찰정신 교육에서는 적극적인 현장대응 및 공무수행, 적극대응으로 인해 발생한 소송 등에 대한 면책 및 지원 등에 대한 강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교육은 3일 과정, 총 16시간으로 각 경찰서에서 진행한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이번 특별훈련의 목표는 자신감"이라며 "내년에 현장 중심 교육을 설계하고 있는데 그에 앞서 이번 특별교육을 진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장에서 테이저건 쐈다

같은 날 새벽, 경찰은 적극 대응으로 범인을 검거하기도 했다. 지난 1일 새벽 흉기를 들고 경찰에 돌진한 50대가 경찰이 쏜 실탄에 맞은 뒤 붙잡혔다.

김해서부경찰서는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등으로 50대 남성 A씨를 붙잡았다고 밝혔다. A씨는 이날 새벽 4시 51분쯤 경남 김해시 주촌면 덕암리에 있는 한 공장에 흉기를 들고 찾아가 직원을 위협하고 공장 기물을 파손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당시 A씨는 길이 30cm~70cm짜리 칼 3자루를 소지하고 있었다. 경찰은 A씨를 제압하기 위해 테이저건을 쐈지만, 겉옷이 두꺼워 효과가 없었다. 이후 경찰이 체포 경고를 하자 A씨는 흉기를 들고 경찰에게 달려든 것으로 알려졌다. A씨가 난동을 이어가자 경찰은 공포탄 1발을 쏘고 실탄 3발을 발사했다. 실탄 1발은 A씨의 우측 허벅지를 관통했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같은 경찰의 적극적 현장대응 주문에 일선 경찰들은 부담감을 느낀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서울 지역 지구대에서 근무하는 한 팀장은 "현장에서 총을 쏘고 나면 거의 검찰 수사를 받아야 한다"며 "총기 사용이나 물리력 행사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테이저건. 연합뉴스테이저건. 연합뉴스이어 "현장 대응력 강화를 위한 훈련도 중요하지만 제도를 고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신임경찰관 특별 교육을 두고 전문가들은 특별교육훈련이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현장에서의 신속한 대응은 반복 훈련으로 습득할 수 있다"면서 "무슨 일이 벌어질 때 일회성으로 하는 훈련이 아닌 업무 속에서 훈련을 중요 과정으로 인식하는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장에서 총기 사용 등 적극적 물리력 사용에 대한 우려에도 공감했다. 이 교수는 "총기 사용에 대한 법적 책임이 여전히 경찰 개인에게 부과되고 있고 현장 경찰들의 훈련이 부족하니 총을 쏘기에 두려운 측면도 있다면서 현장에서 이런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인천 층간소음 흉기난동 사건' 당시 현장 대응을 부실하게 해 직위 해제된 경찰관 2명은 해임 처분을 받았다. 송민헌 인천경찰청장은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지난 1일 사퇴 의사를 밝혔다.



0

0

전체 댓글 21

새로고침
  • NAVER키다리쿵짝2022-02-21 19:32:37신고

    추천2비추천0

    화장실도 갖다온 구두발을 타인이 앉을 열차의자위에 올려놓은 비양심과 거짓말쟁이로
    군대갈땐 부동시로 한눈 안보인다 군대 빠지곤 의사들은 나빠지면 더나빠지지 좋아지진 않는다 했는데
    검사 시험볼땐 정상으로 나와서 검찰총장 임명때 군기피자로 몰리자
    제일 친한 친구 안과서 다시 부동시로 안보인다면서도 맨눈으로 골프와 당구 오백치는자며
    또 사기에 서류조작전문 쥴리가족과 본인의 170여건 범죄중 편파수사로 무혐의 만들어주고
    국힘당과 짜고 핸드폰 비번 숨기는 쥴리 꼬붕 한동훈시켜 고발사주에 검찰과 언론유착과
    대장동서 3억5천만원 가지고 수천억을 벌은 이유가 윤석열을 형이라 부르던 실무책임자 김만배가 석열이와 짜고
    부산저축은행서 불법대출로 천백억원 만들어 그돈으로 대장동 개발 돈번뒤
    석열이가 담당검사로 불법대출수사 막아준 댓가로
    석열이 얘비집 김만배 누나가 비싸게 팔아주곤 이중계약서 쓴게 확실시되는 여러가지 행태와 증거

    답글 달기

  • NAVERCk2022-02-20 02:59:12신고

    추천1비추천75

    윤석열후보가 대통령 당선될수밖에 없는 국가환경이에요. 그간 민주당정권이 넘 많은 국민을 괴롭혔어요. 집있는 사람을 죄인취급하고 ... 집1채 있어도 까다로운 조건으로 더좋은 집으로 갈수가 없고, 코로나라는 이유로 방역정책 오락가락, 방역정책 이용해 교회를 코로나발원지같이 여론몰이하고, 대출까지도 제한하고 ... 거기다 동성연애 합법화한다고 법도 개정하려고 하고... 한국거주 외국인들도 국민으로 치려고 헌법 개정하려 하고 ... 대학생 졸업생들 시즌에 맞게 취업이 어렵게 대기업 공채도 없애고 ... 살기 넘 힘든 나라가 되어버렸다.

    답글 달기

  • NAVERCk2022-02-20 02:42:40신고

    추천2비추천75

    이 정부에 대한 적합한 표현을 못찾았는데 확 와닿네요. 맞아맞아!!! 부동산정책을 갖고 국민들 혈세를 뽑아 북한에 갖다주는지 국고는 텅비고, 빚도 천조 ... 북한의 배급제같이 전국민 똑같이 몇십만원 주고 생색하고 ... 솔직히 그돈 반갑지 않아요. 차라리 정말 어려운 자, 기업 선별해서 진정성있게 밀어주든지... 아니면 세금이라도 적게 거두든지 ... 부동산 파는데 양도세가 77%, 사탕 조금 주고 허벅지 살 베어가는 느낌. 잔인무도한 무식한 경제정책이죠.

    답글 달기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