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근현대사가 깃든 레트로 산책길, 채만식 '탁류' 배경의 '군산 탁류길'[전라북도 천리길]

전북

    근현대사가 깃든 레트로 산책길, 채만식 '탁류' 배경의 '군산 탁류길'[전라북도 천리길]

    근대 문학의 거장 백릉 채만식 소설 '탁류'의 배경지
    선양동해돋이공원에서 군산 근대역사박물관까지 걷는 산들길
    우리 한민족의 아픔과 과거로의 시간여행을 떠날 수 있는 길
    나라를 잃은 조선인들의 작은집들이 있었던 '개복동 비탈길'
    과거 수탈시대를 오롯이 느낄 수 있는 '(구)조선은행'과 '옛 세관'
    근대 일본 무가의 고급 주택 양식을 띄고 있는 '신흥동 일본식 가옥'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일본식 사찰 '동국사'
    탁류길 걷고 난 후 몸을 따뜻하게 풀어주는 '물메기탕' 추천


    ■ 방송 : 전북CBS <컴온라디오, 김도현입니다> (평일 낮 12시 30분~1시)
    ■ 진행 : 김도현 변호사 (법무법인 영)
    ■ 출연 : 김하나 해설사
     
    ◇ 김도현> 전라북도의 아름다움을 걸으면서 만끽하는 명품 여행길. 전라도 천년의 역사와 자연을 담은 길, 전라북도 천리길. 44개로 이루어진 전북 천리길을 매주 하나씩 만나보는 시간입니다. 내 친구 전북 천리길을 소개합니다. 지난주에는 백제부터 현재까지 천년고도 전주를 느끼는 천년전주마실길을 다녀왔었죠. 오늘은 군산으로 떠나봅니다. 오늘 천리길 안내해 주실 분 김하나 해설사님 자리했습니다. 해설사님, 안녕하세요. 
     
    ◆ 김하나> 안녕하세요. 
     
    ◇ 김도현> 오늘 소개해 주실 길 가볼게요. 어떤 길이죠? 
     
    대표 사진. 전북도 제공 대표 사진. 전북도 제공 ◆ 김하나> 오늘은 군산의 탁류길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 김도현> 탁류길. 채만식의 장편소설 '탁류'. 제가 고등학교 다닐 때 언어영역 책에서만 봤던 그 탁류를 얘기하는 게 맞아요? 
     
    탁류길 안내도. 김하나 해설사 제공 탁류길 안내도.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하나> 네, 맞습니다. 탁류길은 1930년대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의 애환이 담긴 삶을 풍자적으로 표현한 채만식 선생 '탁류' 소설의 배경이 되기도 한 곳이고요. 군산의 구도심을 걸어보는 길이라서 구불6-1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김도현> 이 '탁류' 작품을 좀 알고 걸으면 더 의미 있을 것 같아요. 
     
    채만식 작가. 네이버 제공 채만식 작가. 네이버 제공 
    ◆ 김하나> 조선인들의 삶을 잘 알 수 있는 채만식 선생의 '탁류' 속 그 하나를 읽어드리려고 합니다.
     
    ◇ 김도현> 네. 
     
    ◆ 김하나> 언덕 비탈을 의지하여 오막살이들이 생선 비늘같이 들어박힌 개복동. 그중에서도 상상꼭대기에 올라앉은 납작한 토담집. 방이라야 안방 하나, 건넌방 하나 단 두 개뿐인 것을 명님이네가 도통 오 원에 집주인한테서 세를 얻어 가지고, 건넌방은 따로 먹곰보네한테 이 원씩 받고 세를 내주었다. 대지가 일곱 평 네 홉이니, 안방 세 식구, 건넌방 세 식구, 도합 여섯 사람에 일곱 평 네 홉인 것이다. 즉, 평당 한 명씩 자리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서 조선인들의 삶을 조금이나마 짐작할 수 있지 않으세요?
     
    토막집. 군산시 제공토막집. 군산시 제공
    ◇ 김도현> 교도소가 이렇게 있거든요. 한 방 안에 사람들이. 그 정도로 조선인들이 어렵게 생활했던 것이죠.
     
    ◆ 김하나> 네, 맞습니다. 
     
    ◇ 김도현> 그동안 소개했던 천리길과는 다른 특별함이 벌써부터 있을 것 같습니다. 
     
    ◆ 김하나> 맞아요. 지금까지 자연과 벗 삼아서 길을 걸었던 곳이라고 하면. 
     
    ◇ 김도현> 그동안 좋은 길이었죠. 
     
    선양동 해돋이공원. 김하나 해설사 제공 선양동 해돋이공원.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하나> 오늘 소개하는 길은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길입니다. 군산은 일제강점기에 역사가 가장 많이 남겨져 있는 도시 중 하나예요. 일제강점기 군산은 이원적 도시 구조로 수탈로 잘 먹고 잘 살았던 일본인 거리와 수탈로 헐벗고 굶주렸던 조선인의 거리가 공존하는 탁류길인 곳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잊지 않아야 할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바르게 바라보고 느끼며 앞으로 우리가 어떻게 역사를 써 내려가야 하는지 생각하고 느낄 수 있는 길이기에 꼭 가봐야 한다고 생각해요. 도심 속 걷는 길이 다소 조금 무겁고 진지할 수는 있으나 역사적 의미가 있는 길로 모든 국민들에게 미래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길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김도현> 같은 수탈이라는 동일한 이유를 가지고 누구는 잘 먹고 잘 살고, 누구는 헐벗고 굶주리며 살았던 것입니다. 이런 역사적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길이네요. 저희가 어디부터 걸어볼까요? 
     
    경로. 전북도 제공 경로. 전북도 제공 
    ◆ 김하나> 군산 근대역사박물관을 시작으로 해서 해망굴, 신흥동 일본식 가옥, 초원사진관, 이성당, 동국사, 선양동 해돋이공원을 거쳐서 개복동 예술인 거리로 내려와 근대역사박물관으로 다시 회귀하는 코스로 시작과 끝이 같은 곳이고 전체적으로 따졌을 때 6km 정도. 그래서 대략 2시간 걷는 길로 길지 않고 무겁지만 그래도 이야기가 아주 많은 길이죠.
     
    근대역사박물관. 군산시 제공 근대역사박물관. 군산시 제공 
    ◇ 김도현> 군산 근대역사박물관 주차장이 잘 돼 있어서 여기 주차하고 걸으시면 되겠습니다.
     
    ◆ 김하나> 네, 맞습니다. 
     
    ◇ 김도현> 여기 역사적 의미가 깊다고 했는데 어떤 의미가 있는지 다시 한번 들어볼게요.
     
    ◆ 김하나> 이 길은 일제강점기 식민통치지배 정책을 한눈에 볼 수 있어서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 김도현> 지붕 없는 박물관이요?
     
    호남관세박물관. 군산시 제공호남관세박물관. 군산시 제공
    ◆ 김하나> 지금의 호남관세박물관 인근의 수덕산 자락에는 전근대 시기 전북의 군사적, 경제적 관문을 지켰던 군산진이 있던 자리예요.
     
    ◇ 김도현> 군산진. 
     
    ◆ 김하나> 네. 그런데 1899년 5월 1일 군산이 개항하면서 이후 각국 조계지가 형성되고 군산진 자리에 일본영사관이 자리합니다. 그런데 이 일본영사관이 대한제국의 법적인 간섭이나 통치를 받지 않고 치외법권을 누렸고 우리가 을사늑약이라는 역사적 사건 있죠. 그 사건 이후에는 대한제국의 식민침탈을 자행했던 한편으로 이사청이라고 하는 이름을 가진. 
     
    해망굴. 김하나 해설사 제공 해망굴.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도현> 관공서였군요.
     
    ◆ 김하나> 네. 그 관공서가 자리했고 그리고 경술국치 이후에는 식민지배 정책을 담당했던 군산부청이 자리했던 곳으로 정치적 수탈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 김도현> 일본이 봤을 때는 이 자리가 명당이었나 봅니다. 계속해서 다른 관공서를 바꿔가면서 수탈을 계속했던 것이죠. 
     
    (구)조선은행. 김하나 해설사 제공 (구)조선은행.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하나> 민족의 맥을 딱 끊어버릴 수도 있는 곳이기 때문에 그곳에 자리를 계속 일본의 식민지배 정책을 담당했던 관공서를 짓지 않았을까 생각하고요. 또 한편으로는 그 인근에 옛 군산세관, 나가사키18은행, 구 조선은행, 그리고 부잔교라고 하는 내항을 중심으로는 기관산업, 금융, 재정, 토지 등을 수탈했던 경제적 수탈 공간도 있습니다.
     
    ◇ 김도현> 아주 쌍끌이를 해 간 그 공간을 저희가 볼 수 있는 것이군요. 
     
    ◆ 김하나> 네. 
     
    ◇ 김도현> 벌써부터 마음이 그렇게 좋지가 않습니다. 이렇게 걷다 보면 일본 건축 양식에 사찰까지도 볼 수 있다고요. 
     
    동국사. 김하나 해설사 제공 동국사.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하나> 네. 마지막 구도심의 가장 남쪽에 자리한 동국사는 민족정신수탈을 자행했던 곳으로 일본 건축 양식의 사찰이 있습니다. 경내에 참사문비를 통해 일본 불교의 정신수탈의 만행을 사죄하는 글과 그 앞에 서 있는 소녀상이 참 많은 것을 담고 있고 인상 깊은 곳이기도 합니다. 군산의 근대거리인 탁류길은 글을 통해서만 역사를 알아가는 것이 아니고 걸으면서 자연스럽게 몸으로 느끼고 간직하면서 걸어가면서 알아가는 길이기도 합니다.
     
    ◇ 김도현> 지금 이미 이 길을 걸으면서 꼭 봐야 하는 포인트 3가지를 짚기가 너무 어려운 상황인데 한번 들어볼게요. 
     
    창성동 산비탈. 김하나 해설사 제공 창성동 산비탈.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하나> 크게 3가지로 나눠봤는데요. 첫 번째는 조선인의 삶을 볼 수 있는 창성동과 개복동 일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식민도시에 살고 있는 조선인들의 삶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인데요. 고지대의 빈민과 조선인들의 거주지이기도 합니다. 산비탈을 쭉 걸어올라가면서 선양동 해돋이공원 인근에 자리한 '탁류' 소설의 정주사 집터예요.
     
    ◇ 김도현> 집터. 
     
    선양동 정주사 집터. 김하나 해설사 제공 선양동 정주사 집터.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하나> 산이 끊어진 곳에 위치해 있는데요. 그곳에 서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내일이 없는 조선인들의 삶을 마음 한편으로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 김도현> 그때 당시에는 내일이 없었던 거예요. 그런 조선인들의 애환을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 김하나> 네. 두 번째 포인트는 일본인들의 삶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신흥동, 영화동 일원입니다.
     
    신흥동 일본식 가옥 가는 길. 김하나 해설사 제공 신흥동 일본식 가옥 가는 길.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도현> 잘 살았던 분들?
     
    ◆ 김하나> 그렇죠. 개항 이후 군산의 삶의 터전이었던 곳이었고요. 일본의 식민지배 계획 속에 근대 건물과 위생, 사회생활을 갖춘 문화도시로 일본인 거리로 변화되어 있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군산에서 일본인이 살았던 건축물로 옛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는 신흥동 일본식 가옥은 대지가 375평에 건평이 110평으로 일본인이 점유한 근대거리의 상징 건물이기도 합니다. 
     
    ◇ 김도현> 어마어마하네요. 
     
    ◆ 김하나> 대지가 375평 이야기 들었을 때 종전에 '탁류' 속 명임이네 생각나지 않으세요?
     
    신흥동 일본식 가옥 내부. 김하나 해설사 제공 신흥동 일본식 가옥 내부.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도현> 그 대지 375평까지 안 가도 건평이 110평이면. 명임이네 7평, 여기 7평에서 몇 명이 살았어요.
     
    ◆ 김하나> 한 가족이 살았다고 되어 있습니다. 
     
    ◇ 김도현> 정말 가슴이 아픕니다. 
     
    동녕고개에서 짬뽕거리. 김하나 해설사 제공 동녕고개에서 짬뽕거리.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하나> 정말 씁쓸한 한편의 근대건축물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고요. 마지막은 현재 구도심이 주는 메시지가 세 번째 포인트입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김도현> 미래는 없죠. 
     
    예술인 거리. 김하나 해설사 제공 예술인 거리.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하나> 그 말씀 한 번쯤은 들어보셨죠. 일제강점기 곡창지대에 대한 수탈 거점도시로 번창했던 군산은 현재 근대화 거리 사업과 도시재생을 통해 다른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군산시는 이 두 지역을 구도심 살리기 일환으로 정비하면서 이 안에 있는 거리와 건축물들을 교육과 관광이라고 하는 측면에서 자원하였습니다. 우리에게는 상처, 치욕, 수치라는 단어로 수식되는 역사이기는 한데 이 자원을 우리는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그다음에 용서는 하되 잊지는 말자는 의식을 가지고 다시는 같은 일을 반복하지 않도록 기억하는 한편 평화적인 미래를 모색하고 있는 이정표 역할을 하는 군산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김도현> 이 길에서 축제 같은 것도 하지 않나요? 
     
    ◆ 김하나> 네, 맞습니다. 
     
    ◇ 김도현> 옛날 축제 같은 것 하잖아요. 
     
    군산시간여행마을. 전북도 제공 군산시간여행마을. 전북도 제공 
    ◆ 김하나> 시간여행축제라고 해서.
     
    ◇ 김도현> 아, 맞아요. 시간여행축제. 
     
    ◆ 김하나> 보통 도시마다 하나의 축제들이 존재하고 있는데 군산 같은 경우에는 정말 빠르게 많은 국민들이 알고 있는 축제이기도 합니다. 
     
    ◇ 김도현> 제가 시간여행축제를 몇 번 갔었거든요. 그런데 볼 때마다 되게 유쾌해요. 사실 이 일제강점기 시대가 지금 우리한테 유쾌한 일은 아니지만 그 내용을 굉장히 유쾌하고 다가가기 쉽게 풀어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평화적 미래를 모색하는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는 군산, 너무 아름다워요. 마지막으로 어떤 길인지 한마디로 정의한다면요? 
     
    선양동. 김하나 해설사 제공 선양동.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하나> 이 길은 소통의 길이라고 정의하고 싶습니다. 과거 선조들의 삶과 애환을 느끼면서 현재를 또 이해하고 그리고 역사를 올바르게 인식해서 앞으로 역사를 쓸 미래의 자녀들에게 올바르게 제대로 된 역사의식을 심어줘서 성숙한 미래의 문화인으로 거듭될 수 있도록 만들어 주기 때문입니다.
     
    ◇ 김도현> 다시 한번 가봐야 하겠습니다. 군산, 우리 천리길로 다시 한번 만나보고 싶어요. 우리가 이 길을 이제 다 걸었습니다. 2시간 정도밖에 안 되지만 그래도 할 것은 해야죠. 먹어야 할 음식이 있다면요?
     
    월명공원 가는 길. 김하나 해설사 제공 월명공원 가는 길.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하나> 겨울철에만 맛볼 수 있다는 것이 조금 아쉬워요. 아쉬운데 차디찬 겨울철 이 길을 걸으면 씁쓸하고 시린 마음과 그리고 쓰라린 속을 시원하게 또는 따뜻하게 확 풀어줄 물메기탕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 김도현> 물메기탕을 왜 겨울에만 맛볼 수 있어요?
     
    ◆ 김하나> 겨울철에만 잡혀요. 
     
    ◇ 김도현> 아, 얘 물메기가?
     
    물메기탕. 김하나 해설사 제공 물메기탕. 김하나 해설사 제공 
    ◆ 김하나> 네.
     
    ◇ 김도현> 그래요?
     
    ◆ 김하나> 네. 가뜩이나 시린 역사를 걸으면서 바라보고 있는데. 
     
    ◇ 김도현> 이제 뜨겁게 풀어줘야죠. 
     
    ◆ 김하나> 그렇죠. 따뜻한 음식도 한 그릇 하셔야 하겠죠. 물메기탕의 진수는 국물에 있어요. 
     
    ◇ 김도현> 국물. 
     
    ◆ 김하나> 그렇죠. 한 숟갈 떠먹으면 보드라운 살이 호로록 넘어가고요. 그리고 맑으면서도 시원하고 깊고 개운한 맛에 쓰라린 속이 스르륵 사라집니다. 
     
    ◇ 김도현> 지금 설명만 들었는데 입에 침이 고여서 말을 못 하겠어. 이렇게 2시간 동안 우리 군산을 걸어보고 물메기탕까지 마무리를 잘해 봤습니다. 정말 다시 한번 가봐야 하겠어요. 군산 너무 좋아하니까. 전라북도의 아름다움을 걸으면서 만끽하는 명품 여행길, 전라북도 천리길. 오늘은 44개의 길 중 벌써 30번째 길입니다. 군산 탁류길 함께 걸어봤어요. 진짜 조만간 꼭 가서 걸어보겠습니다. 김하나 해설사님, 멋진 안내 감사했습니다.
     
    ◆ 김하나> 감사합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