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한옥마을의 역사가 사부작 감겨오는 슬로길 "전주한옥마을 둘레길"[전라북도 천리길]

전북

    한옥마을의 역사가 사부작 감겨오는 슬로길 "전주한옥마을 둘레길"[전라북도 천리길]

    한옥마을의 역사와 문화가 숨을 나누는 길 '숨길'
    고즈넉한 전주천을 따라 걸으며 문화유산 만날 수 있어
    선비들의 공부 공간, 가람 이병기의 집필실 '양사재'
    일제강점기 전라선 철도를 놓을 때 뚫은 터널 '한벽굴'
    조선시대의 천주교 순교자 묘 '치명자산성지'
    아기자기한 가게와 재미있는 벽화가 가득한 '자만벽화마을'
    고려시대 이성계가 왜구를 물리치고 승리를 만끽한 '오목대'


    ■ 방송 : 전북CBS <컴온라디오, 김도현입니다> (평일 낮 12시 30분~1시)
    ■ 진행 : 김도현 변호사 (법무법인 영)
    ■ 출연 : 박경숙 해설사
     
    ◇ 김도현> 전라북도의 아름다움을 걸으면서 만끽하는 명품 여행길. 전라도 천년의 역사와 자연을 담은 길, 전라북도 천리길. 44개로 이루어진 전북 천리길을 매주 하나씩 만나보는 시간입니다. 내 친구 전북 천리길을 소개합니다. 지난주에는 남원 교룡산 둘레길을 다녀왔었죠. 오늘부터는 전북 천리길 겨울길 시작입니다. 먼저 전주로 떠나봅니다. 오늘 천리길 안내해 주실 분 박경숙 해설사님 자리했습니다. 해설사님, 안녕하세요. 
     
    ◆ 박경숙> 네, 안녕하세요. 전라북도 천리길 해설사 박경숙입니다. 만나서 반갑습니다. 
     
    ◇ 김도현> 오늘부터 전북 천리길의 겨울길 시작입니다. 지난주에 눈이 또 엄청 많이 왔잖아요. 전북 천리길 사계절 모두 매력 있지만 겨울길, 특히 어떤 매력이 있을까요? 
     
    명륜당의 겨울. 박경숙 해설사 제공 명륜당의 겨울.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겨울길의 매력은 앙상한 나뭇가지에 붙어 있는 겨울 눈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것 같지만 봄을 준비하고 꽃을 피우려고 준비하고 있잖아요. 그런데 그 꽃을 피우기 위하여 혼자만의 시간으로 힘을 모으고 있는 모습이잖아요. 혼자서 내 안에서 힘을 모으고 있는 나무를 보면서 겨울이라는 멋진 계절, 앞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힘을 모으고 있는 이 계절에 걷는 길이 겨울길의 매력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전라북도 천리길을 걸으면서 그 힘을 가져가시면 좋겠습니다.
     
    ◇ 김도현> 여기서 정리해도 되겠는데요? (웃음) 너무 좋네요. 오늘 해설사님과 어떤 길 걸어보나요? 
     
    한옥마을 둘레길 안내판. 박경숙 해설사 제공 한옥마을 둘레길 안내판.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오늘은 제가 여러분들에게 소개해 드릴 길은 전주 한옥마을둘레길입니다. 전주 한옥마을둘레길은 전주시의 3개의 길 중에 제1길에 속합니다. 한옥마을둘레길의 안내판을 보면 괄호 안에 숨길이라고도 쓰여져 있어요.
     
    ◇ 김도현> 숨길이요? 
     
    ◆ 박경숙> 네. 그 숨길의 의미는 삶의 고단함을 잠시 내려놓고 전통의 향기와 삶의 향기를 들이쉬는 산소 같은 길, 역사와 문화가 숨을 나누는 길, 그래서 살아서 숨 쉬는 길이라고 합니다.
     
    대표사진. 전북도 제공 대표사진. 전북도 제공 
    ◇ 김도현> 그것을 짧게 숨길이라고 했군요.
     
    ◆ 박경숙> 네. 
     
    ◇ 김도현> 관광객이 한옥마을에 굉장히 많이 찾아요. 그런데 그 안에 둘레길이 있다는 거예요?
     
    ◆ 박경숙> 안과 밖. 안도 있고 밖으로 돌아서까지 한옥마을둘레길이라고 이야기합니다. 
     
    ◇ 김도현> 그러면 어떤 경로로 저희가 한번 걸어볼까요? 
     
    경로. 전북도 제공 경로. 전북도 제공 
    ◆ 박경숙> 오늘의 경로는 한옥마을둘레길은 공예품전시관에서부터 시작해요.
     
    ◇ 김도현> 한옥마을 안쪽에서부터 시작하네요? 
     
    양사재. 박경숙 해설사 제공 양사재.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네. 공예품전시관에서 시작해서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양사재를 만날 수 있고 전주향교를 둘러본 뒤에 전주천을 따라 걷다가 한벽당을 지나요. 한벽당을 지나면서 자연생태관을 통과하면 치명자산 성지를 만나게 됩니다.
     
    ◇ 김도현> 이렇게 치명자산 성지를 가는군요.
     
    바람쐬는 길. 박경숙 해설사 제공 바람쐬는 길.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네. 치명자산 성지까지는 역사가 있는 것 같고 이제부터는 숲에 들어서게 됩니다. 88올림픽을 기념하기 위하여 조성된 숲길이 거기에서부터 시작돼서 그 길의 이름은 바람 쐬는 길이라고 명칭이 붙어 있기도 하고요. 슬로시티 전주길이라고도 합니다. 그 길을 따라가다 보면 멋진 정자가 보여요. 의자도 보이고요.
     
    ◇ 김도현> 잠깐 쉬었다 가야 하겠네요? 
     
    한벽굴. 박경숙 해설사 제공 한벽굴.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네. (웃음) 그래서 거기가 반환점이 됩니다. 반환점에서 잠시 쉰 다음 전주천변을 따라 내려오시면 아까 걸었던 그 숲길의 안인 뚝방길을 따라서 걸어요. 뚝방길을 따라서 걸어오다 보면 한벽굴을 지나게 되고 한벽굴을 지나면 자만벽화마을 그리고 이목대와 오목교를 지나 오목대에서 한옥마을 풍경을 굽어보고 시발점인 공예품전시관에 이르게 됩니다. 총 거리는 8km이며 소요시간은 2시간 30분이 소요됩니다.
     
    ◇ 김도현> 한옥마을 인근을 크게 한 바퀴 도는 그런 코스인 것 같아요. 저희 동네라서 말씀하시는 골목골목이 다 제가 아는 곳입니다. (웃음) 이렇게 한옥마을 전체를 둘러보는데 이렇게 한옥마을둘레길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이죠? 
     
    오목대에서 보는 한옥마을. 박경숙 해설사 제공 오목대에서 보는 한옥마을.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전주 한옥마을둘레길은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과 교동 일대에 걸쳐 있는 마을을 이야기해요. 이 한옥마을이 형성된 것은 1911년 말, 전주 읍성의 남문을 제외하고는 모든 성곽이 철거되면서 서문 밖에 살고 있던 일본인들이 이 안으로 들어오기 시작하자 민족적 자긍심을 가진 전주의 선비들이 이대로 두어서는 안 되겠다고 해서 그들이 이곳에 풍남동과 교동 일대에 한옥을 짓기 시작합니다.
     
    한옥마을 둘레길 반환점. 박경숙 해설사 제공 한옥마을 둘레길 반환점. 박경숙 해설사 제공 
    ◇ 김도현> 그러니까 일본 사람들이 한옥마을로, 성 안쪽으로 들어오니까 들어와서 살려면 일본식 건축물을 지어야 하잖아요. 그래서 안 된다.
     
    ◆ 박경숙> 안 된다, 하지 않아야 한다. 
     
    ◇ 김도현> (웃음) 안 된다는 조금 이상하다. 일본인 주택에 대한 대립 의식.
     
    ◆ 박경숙> 대립 의식, 이런 것들을 가지게 된 것이죠. 그래서 그들이 한옥마을을 형성하게 되었는데 이 한옥마을이 형성된 것은 100년이 조금 넘었어요. 그래서 서울 북촌이나 안동 하회처럼 외곽에 있지 않고 도심에 있어요.
     
    ◇ 김도현> 정말 도심 한복판에 있잖아요. 구도심에 있어요.
     
    향교대성전. 박경숙 해설사 제공 향교대성전.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네. 도심 한복판에 있다 보니까 이런 한옥들이 전통적인 한옥이 아닌 도시형 한옥에 속합니다. 그래서 도시형 한옥이 되다 보니까 훨씬 더 문화적인 가치가 높지는 않지만 도시만에 위치해 있으면서 경기전, 전동성당, 능과 같이 문화적인 가치를 가진 것들과 조화를 이루면서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 김도현> 다 의미가 있어요. 전동성당, 경기전 다 의미가 있는 건축물인데다가 일본인들이 약간 우리의 문화를 짓밟으려고 하는, 그런 거주 문화를 짓밟으려고 하는 그런 행동에 대립하는 생각으로 만들어진 마을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굉장히 의미 있다, 이런 생각이 듭니다. 그럼 이제 전주향교도 볼 수 있을 텐데. 
     
    명륜당의 가을. 박경숙 해설사 제공 명륜당의 가을.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향교를 구경하고 난 뒤에는 내려가요. 전주천으로 내려가서 한벽당을 지나서 전주천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자연생태관을 지나갑니다.
     
    ◇ 김도현> 이렇게 전주 자연생태관까지 지나서. 
     
    치명자산성지. 박경숙 해설사 제공 치명자산성지.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치명자산 앞을 지나갑니다.
     
    ◇ 김도현> 옆구리로 약간 지나는 것 아니에요? 
     
    ◆ 박경숙> 네. 옆구리를 지나는데 치명자산 성지는 신유박해 때 순교한 호남의 사도 유항검 아우구스티노 복자와 그의 가족 6인이 합장된 가족 순교자의 묘가 있습니다. 
     
    ◇ 김도현> 벽화마을도 볼 수 있어요. 
     
    자만마을 안내도. 박경숙 해설사 제공 자만마을 안내도.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네, 그곳을 구경하고 조금 올라가면 자만벽화마을의 풍경이 새롭게 눈에 들어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만이라는 마을 이름은 자식이 많이 불어나라는 뜻이 붙여져 있다고 해요.
     
    ◇ 김도현> 아, 그래요? 
     
    ◆ 박경숙> 네. 자만마을은 한옥마을과 도로 하나 사이에 두고 고즈넉이 자리 잡고 있는데요. 예전에는 피난민들이 하나둘씩 살았던 곳인데 2012년 녹색둘레길 사업의 일환으로 골목길 40여 채의 곳곳에 벽화가 그려지면서 유명해지기 시작했다고 그래요. 2020년 전주 벽화 트리엔날레 예술가 작업을 통해서 더욱더 새롭게 변화가 됐고요. 전주 벽화 트리엔날레 사업은 3년마다 한 번씩 변화가 된다고 해요. 
     
    ◇ 김도현> 그렇군요. 
     
    자만벽화마을. 박경숙 해설사 제공 자만벽화마을.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그래서 2023년도에는 또 다른 벽화가 우리들에게 다가오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 김도현> 그러니까 자만, 옥류 벽화마을의 그 벽화는 살아있는 미술관입니다.
     
    ◆ 박경숙> 살아있는 미술관으로 3년마다 하고 있고 그렇게 벽화를 할 수 있는 곳이 있고 또 주민들이 하고 있는 곳도 있더라고요. 
     
    ◇ 김도현> 그렇군요. 
     
    오목대. 박경숙 해설사 제공 오목대.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그래서 여러 다양한 종류를 볼 수 있고 이어서 이목대와 오목교까지 보면 경로가 끝이 나요. 그런데 오목대는 고려 말 우왕 6년에 이성계가 유명한 남원 운봉 황산대첩을 승리하고 돌아가면서 조상이 살았던 이곳에 종친들을 불러 잔치를 베풀었던 곳이죠.
     
    ◇ 김도현> 제가 가도 느낌 있습니다. (웃음)
     
    ◆ 박경숙> 그렇죠. (웃음) 그 오목대에 올라가서 이성계가 불렀던. 
     
    ◇ 김도현> 대풍가. 
     
    ◆ 박경숙> 대풍가. 그렇죠. 대풍가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한번 나도 그 기상을 생각해 보면서 꿈을 한번 꿔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김도현> 이성계의 기상을 한번 느껴 보는 오목대입니다. 마지막으로 어떤 길인지 한마디로 정의하신다면요? 
     
    사부작거리면서 걷는 길. 박경숙 해설사 제공 사부작거리면서 걷는 길.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사부작거리면서 걷는 길. 사부작, 사부작. 느리게 걸어 보아야 보이는 것이 많고 마음으로 느낄 수 있는 풍경들이 많은 길이라고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 김도현> 저도 전주에서 태어나고 자랐고 그리고 이 한옥마을도 굉장히 자주 가는데 오늘 이렇게 해설사님과 걸어보니까 새롭게 다가옵니다. 
     
    한벽당. 박경숙 해설사 제공 한벽당. 박경숙 해설사 제공 
    ◆ 박경숙> 멋있죠.
     
    ◇ 김도현> 정말 멋있는 길이네요. 한번 저도 걸어보겠습니다. 전라북도의 아름다움을 걸으면서 만끽하는 명품 여행길, 전라북도 천리길. 오늘은 44개의 길 중 32번째 길 전주 한옥마을둘레길을 함께 걸어봤습니다. 박경숙 해설사님, 멋진 안내 감사했습니다.
     
    ◆ 박경숙> 감사합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