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유동성 위기에 빠졌던 크레디트스위스(CS)가 스위스 최대 은행 유비에스(UBS)에 최종 인수되면서 급한 불은 껐지만, SVB 파산 사태로 가시화된 은행발 위기가 완전히 종료됐는지는 미지수다. 당장 CS 인수 소식에도 국제유가와 글로벌 증시가 고꾸라지고 안전자산으로 돈이 몰리는 등 시장의 불안과 우려는 걷히지 않았다.
20일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CS와 USB의 합병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일념을 전시하듯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당초 USB가 인수가로 제안했던 10억달러(1조3천억원)이 헐값이라며 거부 당하자, 스위스 정부가 CS의 특정분야라도 국유화해야 한다는 안까지 흘러나왔다. 스위스 연방각료회의는 이번 인수가 주주 동의 절차를 밟지 않고도 진행될 수 있도록 긴급조례를 발동했다. 앞서도 스위스국립은행이 CS에 5백억 스위스프랑(약70조원)을 빌려주기로 했다는 것까지 감안하면,
사태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해 당국이 얼마나 노력했는지 알 수 있다. 결국 UBS가 인수가를 3배를 높인 32억3천만 달러를 제시해 인수가 최종 타결됐다. 스위스국립은행은 이번 인수의 성공을 위해 최대 1천억 달러(130조8000억원)의 유동성 지원도 제공하기로 했다.
큰 위기는 넘겼지만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투자자들의 불안이 여전한 상태라 은행발 위기가 종료됐다고 볼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일단 시장이 이번 사태를 투자자들의 손실, 위기 신호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CS와 UBS의 합병 비율이 1대 22.48인 만큼 CS의 주식채권 보유자들의 부담과 손실이 크다는 의미이고, 이로 인해 은행권에 대한 투자 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20일 세계 주요 증시에서 주요 은행들의 주가는 물론 채권 가격도 하락세를 보였다.
문제가 된 SVB나 CS와 비즈니스 모델 자체가 다른 국내 은행들까지 덩달아 타격을 받는 수준이다. 안전자산 쏠림도 눈에 띈다. 이날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이날 장중 배럴당 64.89달러까지 하락하면서 2021년 12월 이후 가장 낮은 가격을 기록한 반면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국제 금값은 장중 온스당 2천달러를 넘었다. 금 시세가 온스당 2천달러선을 돌파한 적은 지난해 3월 이후 처음이다.
지난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한 직원이 위기설에 휩싸인 크레디트스위스(CS)를 인수한 스위스 최대 금융기관 UBS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국 대형은행에 수백억 달러 규모의 예금이 유입되는 등 중소은행에서 대형은행으로 '머니무브'도 이어지고 있다.
금융 토대인 은행에 대한 신뢰 자체에 균열이 가고 있다는 의미다. 167년 역사에 세계 9대 IB 중 하나인 CS가 속절 없이 넘어진 데 이어, 글로벌 주요 국이 총출동해 소방수를 자처하는데도 불안이 제거되지 않는 상황이 이어지면,
시장은 "은행조차 믿을 수 없다"는 인상을 더욱 강하게 받을 수밖에 없다.그렇다고
유동성 위기의 배경이 됐던 고금리 정책을 곧바로 철회하기도 어렵다. 높은 물가 상승률도 문제지만, 금리 인하 자체가 "물가가 안 잡혔는데도 고금리 기조를 철회할 정도로 시장이 불안하다"는 메시지를 시장에 줄 수 있다. 이 경우 시장은 공포를 넘어 패닉 단계에 이를 수 있다는 얘기들이 나온다. 이런 조건 속에서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 중소 은행 대출의 28%를 차지하는 상업용 부동산 대출과 개인금융의 자산가치 하락도 다음 위기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증권사는 이날 일제히 보수적인 투자를 권고했다.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라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