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수 금융감독원 은행 담당 부원장이 지난 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 본원에서 '은행 부문 주요 감독, 검사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기 위해 단상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금융감독원이 은행권의 지배구조를 중점적으로 감독·검사하기로 했다.
경영실태평가에서 지배구조와 내부통제 개선 평가 비중을 높이는 것은 물론, 최고경영자(CEO) 선임과 경영승계 절차도 들여다본다.
금융감독원은 4일 '은행부문 주요 감독·검사 현안 기자설명회'를 열고 은행의 지배구조·내부통제 강화 방안을 내놨다.
올해와 내년 중점 감독·검사 테마로 지배구조 개선을 선정해 현장 검사를 강화한다.
그동안 비정기적으로 열렸던 은행별 이사회와의 면담도 매년 최소 한 차례 이상으로 정례화해 금융당국의 감독·검사 방향을 공유한다.
눈에 띄는 대목은 은행의 지배구조 관련 평가항목을 확대 개편하면서 'CEO 선임 및 경영승계 절차' 항목을 새로 넣었다는 점이다.
CEO를 포함한 은행 임원 선임절차가 적절히 이뤄지고 있는지도 살펴보겠다는 뜻이다.
지난해 말 은행권의 지나친 '성과급 잔치'로 비판이 거세게 일면서 '성과평과 및 보수체계' 항목도 포함됐다.
이날 브리핑에 나선 이준수 금감원 부원장은 "금융위원회는 법규 관련해서 제도를 개정하는 큰 작업을 진행하고, 금감원은 실제 현장에서 은행, 금융지주 내에서 어떻게 지배구조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무엇이 부족한지를 진단하고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거수기'라는 비판을 받았던 금융지주사와 은행들의 이사회 기능도 정상화한다.
그동안 정권이 바뀔 때마다 CEO 연임 문제를 놓고 금융당국과 금융지주사들이 신경전을 벌였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일부 금융지주 CEO가 측근들로 채운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를 구성하고, 연임과 3연임에 나서는 행보를 보이면서 과도한 '장기집권' 아니냐는 눈총도 받았다.
회추위 자체가 대부분 기존 이사진으로 구성되다 보니 '그들만의 리그', '장기집권을 위한 참호 구축'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홈페이지 캡처금감원은 이번 기회에 임원 선임 절차를 개선해 금융지주 CEO의 장기집권을 막고, 내부 통제 강화라는 이사회 본연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길 기대하고 있다.
이번 경영실태평가 강화에 'CEO 선임 및 경영승계 절차' 항목이 포함된 것도 이같은 상황이 더이상 반복되면 안된다는 금융당국의 의지가 작동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도 금융당국 수장들은 일부 지주사들의 CEO 연임 절차를 잇달아 문제삼기도 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1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통령 업무보고 사전 브리핑에서 우리금융지주의 차기 회장 후보 선임 과정을 놓고 "주인(지배주주)이 없는 주요 회사의 최고경영자 선임 절차는 투명하고 합리적이어야 한다"라고 언급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주인이 없는 조직에서 CEO를 어떻게 선임하는 게 맞는지'라는 질문은 누구나 할 수 있다"며 "지금의 시스템이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투명한 절차이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비슷한 시기 이복현 금감원장 역시 "(우리금융지주) 회장 후보자 숏리스트가 일주일 만에 결정되는 과정에서 평가에 필요한 적정한 시간이 확보됐는지 걱정이 있다"며 일방적인 CEO 선임 절차에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