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돈은 있지만 땅이 없다…'부자 동네' 강남구의 청사 고민



서울

    돈은 있지만 땅이 없다…'부자 동네' 강남구의 청사 고민

    좁고, 비 오면 물 새는 청사…공간 협소해 구민들 주차에만 3~40분 '분통'
    청사 건립기금 2360억원 적립, 서울시 세택 부지로 이전 강력 희망
    서울시 입장이 관건

    강남구 제공강남구 제공
    대한민국 부자동네의 상징인 서울 강남구가 공무원들의 업무 불편은 물론 구청을 찿는 구민들에게까지 짜증(?)을 초래하는 비좁고 낡은 청사를 대체할 신청사 건립에 부심하고 있다.

    14일 강남구에 따르면 구는 2천360억원의 건립기금까지 마련했지만 빌딩과 아파트가 빼곡한 강남 한복판에서 주민 불편을 초래하거나 민원 발생 소지가 적은 청사 부지를 찾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한다.

    이에 강남구는 대치동에 있는 서울시 땅인 서울무역전시장(SETEC) 자리에 신청사를 건립해 이전하겠다며 토지 교환 등 서울시 협조를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고 서울시도 검토 중이어서 결과가 주목된다.

    강남구에 따르면 지난 1975년 구청이 개청된 이래 사용 중인 현 청사는 원래 창고를 리모델링한 건물로  지어진지 48년이 돼 노후화가 심각하고 사무공간도 협소하다.

    구청 건물의 개보수에 연간 약 20억원의 유지 비용이 발생하고 있고 여름 장마철 기간에는 4층 사무실에 빗물이 샐 정도다.

    또 청사가 하나의 건물이 아닌 4개 동으로 분리돼 구청을 찾은 구민들의 불편을 겪고 있고 구민들이 공유할 체육시설이나 커뮤니티 공간도 없는 상태다.

    하루 1200대 이상의 차량이 드나들지만 주차공간은 120면에 불과해 구청을 찾는 민원인들이 주차하는 데만 3~40분이 걸려 분통을 터뜨리는 일도 잦다.

    이에 강남구는 현 청사부지와 세택 부지를 맞교환해 구청 신청사를 포함한 행정복합타운을 짓겠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도 '양재천·탄천 합수부 일대 저이용부지 마스터플랜용역'을 통해 국제문화복합지구를 조성한다는 계획으로 강남구청의 신청사 이전 의견도 함께 검토하는 중이다.

    신청사 건립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던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서울시가 세택 부지를 포함해 국제문화복합지구 조성을 계획하고 있는데 강남구 복합행정문화타운도 들어갈 수 있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세택은 지난 1999년 축조된 가설 건축물로, 중소기업 제품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약 4만㎡의 크기다.

    강남구는 이 부지의 절반 정도를 이용하면 구 청사와 의회, 구민들을 위한 복합문화타운을 지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세택 부지는 현재 전시장 시설만 갖추고 있어 이주나 보상 등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업 추진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조성명 구청장은 "행정복합타운은 구 산하기관, 강남구의회 등을 한 곳에 모을 수 있고 행정 공간 이외에도 공연장, 체육시설, 커뮤니티 공간 등을 함께 갖춰 서울시민이 함께 이용하는 랜드마크로 거듭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 구청장은 조만간 오세훈 시장을 만나 이같은 입장을 전달하고 서울시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월 세택 부지와 인근 코원에너지(4만9109㎡), 동부도로사업소(5만2053㎡)부지를 아우르는 복합개발계획을 위해 마스터플랜용역에 착수했다.

    이 일대를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와 연계하고 서울 동남권 도시공간이 국제교류·마이스 산업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인데 세택 부지에 강남구청이 들어설 경우의 효율성과 장,단점을 따질 것으로 보인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