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다목적댐 전환" vs "발전용 유지" 괴산댐 용도 놓고 갑론을박



청주

    "다목적댐 전환" vs "발전용 유지" 괴산댐 용도 놓고 갑론을박

    "홍수조절 없어 불안" 송인헌 괴산군수, 국회서 기자회견
    "괴산댐 월류가 수해 원인 아냐" 전국댐연대, 상반 주장

    괴산군 제공괴산군 제공
    최근 집중호우로 물이 넘친 괴산댐 사태를 놓고 지역사회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괴산군과 정치권은 홍수에 취약한 괴산댐의 한계를 지적하는 반면, 환경단체 등은 월류가 수해의 원인이 아니라며 상반된 주장을 펴고 있다.
     
    송인헌 괴산군수는 31일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괴산댐의 경우 발전용 댐에 저수된 물은 발전 목적으로만 사용하면서 방류되고 있다"며 "가뭄이나 홍수 발생 시 물 이용과 홍수 조절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국민의힘 박덕흠(보은·옥천·영동·괴산) 국회의원과 신송규 괴산군의장, 이태훈 충북도의원 등도 참여해 송 군수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이들은 "괴산댐은 국내 최대 다목적댐인 소양강댐과 비교할 때 유역면적은 4분의 1 정도로 넓지만, 저수용량은 19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며 "댐 수위 증가 속도가 빠르고 계획홍수위 도달시간이 짧은 탓에 상·하류 지역 주민들은 해마다 홍수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괴산댐 용도를 발전용에서 다목적용으로 전환하고, 관리기관도 한국수력원자력공사에서 한국수자원공사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곽명환 충주시의원은 지난 27일 시의회 임시회에서 "괴산댐은 치수 기능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다목적댐으로의 변경을 제안하기도 했다.
     
    박현호 기자박현호 기자
    환경단체 등의 시각은 다르다.
     
    충북환경운동연대 등이 참여한 전국댐연대는 이날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홍수 피해는 괴산댐 월류 때문이 아니다"라며 "하천 수용 능력을 넘는 빗물이 일거에 유입됐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수해 원인을 괴산댐으로 단정해 놓고, 다목적댐을 짓자는 주장이 이곳저곳에서 나오고 있다"며 "달천(괴산) 다목적댐 건설은 청주와 충주, 괴산, 보은 일부가 수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15일 집중호우로 괴산댐의 물이 넘치면서 인근 주민들이 긴급 대피했고, 농경지와 주택 침수로 무려 448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