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억원 규모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횡령 사고가 발생한 BNK경남은행 예경탁 은행장이 3일 본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확인된 직원의 사문서 위·변조 등 불법적 방법을 통한 횡령에 대해 사과했다. 경남은행 제공경남은행에서 562억원대 대규모 횡령 사건이 벌어지는 등 금융권 내부통제 미비가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피해 복구를 위한 환수율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횡령액 대부분을 차지했던 은행권의 환수율은 7.6%로 10%대에도 못미쳤다.
7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금융사에서 횡령한 임직원 수는 202명, 이들이 횡령한 금액은 1816억590만원으로 집계됐다.
최근 7년간 횡령액 중 환수된 금액은 224억6720만원으로 환수율이 12.4%에 불과했다.
특히 은행권 횡령액은 1509억8010만원(전체의 83.1%)에 달했지만 회수금은 114억9820만원으로 환수율이 7.6%에 그쳤다.
횡령 금액별로 살펴보면 은행에 이어 저축은행 169억2180만원(9.3%), 증권사 86억9600만원(4.8%), 보험사 47억4200만원(2.6%), 카드사 2억6600만원(0.2%) 순이었다.
은행 중 횡령 직원이 가장 많았던 곳은 하나은행(21명),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우리은행(733억3110만원)으로 집계됐다.
강민국 의원은 "지난 1년간 금융당국이 연달아 금융권 내부통제 제도 개선안을 발표했지만 횡령 사고는 오히려 더 증가했다"며 해당 대책들의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또 "금융권 횡령을 내부통제 문제로만 인식해 셀프 준법 경영 문화 정착에만 역량을 집중할 경우 횡령은 만연할 수밖에 없다"며 "철저한 관리 감독과 최고경영자(CEO)까지 책임을 묻는 강력한 제도 개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