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울산시 남구와 울주군 일대에서 정전이 발생한 가운데 옥동변전소로 소방대원들이 들어가는 모습. 연합뉴스지난달 용인 소재 놀이공원에서 전력 문제로 롤러코스터가 멈춘 데 이어 지난 6일 울산에서 약 2시간 동안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하며 전력 안전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일각에선 누적 적자만 45조원에 달하는 한국전력이 노후화된 변전소와 송전망 등에 투자할 여력을 약해지면서 안전 문제가 불거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7일 한전과 에너지 업계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3시 30분쯤 울산 남구 일대에 전력을 공급하는 옥동변전소 설비 이상으로 대규모 정전이 발생했다. 사고 직후 한전은 복구에 착수해 정전 사태 발생 약 1시간 45분 만에 전력 공급을 재개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정전은 개폐 장치 이상이 원인으로 추정된다며 한전 측은 추가 조사 중이다. 한전에 따르면 해당 변전소에서는 노후 개폐장치 교체를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2개 모선 중 1개 모선을 휴전해 작업 중이었다. 작업 구역이 아닌 다른 측 모선 개폐장치 이상으로 전력공급이 중단됐는데, 개폐장치 내부 절연파괴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전 측은 정전 발생 직후 약 1시간 만에 정전 지역 내 48%에 전력을 공급했고, 약 2시간이 지난 오후 5시 40분쯤에는 모든 고객에 전력공급을 재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정전으로 인해 울산 지역 일대 15만5천여세대가 불편을 겪었다.
한전에 따르면 이번 정전 관련 피해 접수 사례는 약 100건에 달했다. 정전이 발생한 울산 남구 옥동과 신정동 등 아파트 150여개 단지와 식당, 대형마트 등에서는 냉장고 작동이 정지되거나 승강기가 멈추는 등 각종 혼란이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시 남구 시청사 주변 시가지. 연합뉴스 울산 정전에 앞서 지난달 14일에는 경기도 용인 에버랜드의 롤러코스터 T익스프레스가 갑자기 멈추는 사태가 발생한 바 있다. 당시 사태는 변전소 설비 이상으로 인해 일시적 '전압 강하'가 원인으로 밝혀졌다.
경기권 전압 강하 사태는 평택시 고덕 변전소의 개폐기 절연체 파손으로 인해 발생했다. 단 0.05초 동안 전압이 급속히 낮아진 '전압 강하'로 고덕 변전소를 거쳐 수도권에 공급되는 전기 전압이 급속히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번 울산 정전과 지난달 경기권 전압 강하 사태가 같은 원인에서 비롯된 건 아니지만, '총부채 200조원' 한전의 재무 위기가 간접적인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글로벌 에너지 원자재 위기로 인해 최근 3년 간 적자가 크게 늘면서 올해 3분기까지 한전의 누적 적자는 45조원에 달하고 있다.
창사 이후 최대 위기를 맞은 한전은 고강도 재무구조 개선 작업과 함께 구조조정, 자산 매각 등을 진행 중이다. 이 때문에 송배전망 투자는 늦추고 있다. 지난 5월 자구안 발표 당시 한전은 송전망 등 건설 시기를 미뤄 오는 2026년까지 1조3천억원 절감하겠다고 밝혔다.
석유와 LNG(액화천연가스) 등 전력 생산에 활용되는 수입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는 동안 소매 전기요금은 동결 또는 소폭 인상에 그치면서 적자는 크게 늘었다. 지난해 초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에너지 위기가 닥치면서 한전의 2022년 한 해 적자는 32조6천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021년 한 해 적자(5조8천억원)의 6배에 달하는 수치다.
그럼에도 전기요금의 '역마진 구조'는 현재도 지속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올해 1~3분기까지 적자만 약 6조4천억원 늘었다. 이같은 상황에서 지난달 8일 정부는 4분기 전기요금을 '대용량 산업용'만 6.9% 인상하는 데 그쳤다. 에너지 업계에선 올해 말까지 적자가 4천억원가량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근 '총선 차출설'이 나오고 있는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날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4분기에는) 가정용은 제외하고 대규모 사업자 위주로 전기요금 인상 조치를 해서 일단 급한 불은 껐다"며 "다행인 점은 유가가 하락하는 추세라는 것"이라고 했다. 일단 한전의 추가 적자를 막는 데 성공했다고 자평한 것이다. 다만 전기요금 '역마진 구조'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요금 인상은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읽힌다.
전문가들은 존폐 위기에 몰린 한전 적자와 정전 사태가 직접 연관성이 있다고 단정할 순 없지만, 송전망과 변전소 등 관리를 위한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이날 CBS노컷뉴스와 통화에서 "최근 용인에 이어 울산에서도 연이어 정전 사태가 발생했는데, 이런 사태가 국가산업단지 등으로 확산되면 우리 제조업에 상당한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도 통화에서 "전력 설비들은 부품을 제때 보급하고 관리해야 하는데, 적자 부담 때문에 과거와 비교해 검사 주기나 교체 주기를 늘린 건 아닌지 파악해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