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배우 출연료 회당 10억"…드라마 제작사들 위기 성토

문화 일반

    "배우 출연료 회당 10억"…드라마 제작사들 위기 성토

    드라마 촬영장 풍경.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드라마 촬영장 풍경.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국내 드라마 제작비 급상승에 따른 편성 축소와 제작 위축으로 드라마 산업이 위기를 맞았다.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는 지난 16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협회 사무실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드라마 제작사 및 방송 플랫폼 관계자들은 제작 축소로 이어지는 제작비 상승, 이들 사이 악순환의 고리를 어떻게 끊어낼 수 있을지 머리를 맞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제작 실무 책임자들의 현실적 고충이 대거 나왔다. 특히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는 주연급 출연료 인상으로 인한 총제작비의 상승 문제와 그에 따라 발생하는 제작완성도 저하 등 산적한 문제들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드라마 제작의 위축은 필연적으로 K-콘텐츠의 중심축인 방송·영상 산업의 위기로 이어지는 만큼, 총제작비 상승 문제 등은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는데 인식을 함께했다. 과거보다 빠르게 치솟는 주연 배우들의 몸값은 총제작비 상승의 가장 큰 이유다.
     
    한 방송사 관계자는 "수없이 많은 일을 하면서 여러 협상의 과정에서 늘 생기는 문제가 배우 출연료인데, 주연은 이젠 억소리가 아니라 회당 10억 소리가 현실이고, 이젠 어떠한 자구책을 찾아야만 할 때가 왔다"면서 "더욱이 줄어든 편성을 놓고, 제작사들이 그나마 편성이 용이하게 담보되는 배우들의 요구대로 회당 수억 원을 지불해가며 제작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으며, 이는 또다시 제작비 상승을 부추기는 악순환에 빠졌다"고 현 드라마 제작 실태를 전했다.
     
    한 제작사 관계자는 "일부 스타 배우들이 계약 시 방송이 나갈 플랫폼을 미리 한정하고, 현장에서 대본을 바꾸는 것도 비일비재하며, 감독을 교체하는 등 이러한 상황에서 과연 제작사란 도대체 무엇인가 하는 자괴감이 들 때도 있다"면서 "제작사와 방송사가 드라마 판을 키웠지만 제작사가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배우들만 그 과실을 가져가는 게 아닌가 하는 답답함이 있다. 매니지먼트사와의 협상이건 정책 수립이건 시급한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 제작사 본부장은 "회당 제작비가 12억~15억씩 되고 있는데 솔직히 출연료를 3천만~4천만원씩 올려 주는 건 힘들다. 문제는 작년과 재작년에는 이 정도 금액에도 성사되었던 배우들이 지금은 불가능하다. 더군다나 편성 개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내년에도 늘어난다는 보장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예전엔 배우 한 명당 소화하는 작품 수가 많았는데 이젠 편수도 적고 나와 있는 대본만 많고 그 외에도 제작되고 있는 게 많아서 일단 몇 개를 걸어 놓고 재고 있다. 같은 배우, 같은 감독으로 2~3개 작품씩 걸어 놓고 편성되는 작품만 하겠다는 경우가 많다. 앞으로의 시장이 암울하다"고 전망했다.

    이는 국내 방송사 영향력이 줄어들고,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를 중심으로 드라마 산업 전반이 재편된 탓이 컸다. 글로벌 기준으로 배우 출연료는 상승했지만 국내 자본으로는 제작비 감당이 어려운 현실. 그럼에도 이에 제동을 걸 방법은 현재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제작사들 사이에서는 "회당 제작비 20억을 아무렇지도 않게 말하는 현실이 무섭다"는 푸념 섞인 이야기까지 나왔다.

    한 제작사 대표는 "최근 작품을 준비하면서 배우들의 캐스팅을 진행했는데 회당 출연료를 4억원, 6.5억원, 7억원을 불렀다. 요즘 출연료 헤게모니가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플랫폼 중심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어려움이 있다. 실제로는 언론이나 기사들에서 보는 수치보다 훨씬 많은 금액을 지급한다"면서 "중국은 배우 출연료가 총 제작비의 40%를 넘길 수 없고 출연료 중 주연급의 출연료는 70%를 넘길 수 없다고 들었다"고 한국 역시 합리적이고 건강한 생태계를 위한 출연료 가이드라인이 시급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또 다른 제작사 대표는 "캐스팅 할 때, 우리와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플랫폼의 작품 제작비가 크게 차이가 나는데도 불구하고, 그러한 기준을 우리에게 적용하고 있는 것 같아 곤혹스럽다. 이 출연료 적정선을 어떻게 측정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고 난감을 표했다.

    한 제작사 관계자는 "출연료 협의를 하다 보면 방송과 OTT의 출연료 차이가 크게 난다. 방송에선 400만원 받는 배우가 OTT에선 1500만원을 받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제작사 입장에서는 출연료 구조를 볼 때 5천만원 이하의 배우가 10% 인상을 한다 해도 500만원으로 심히 부담되지는 않겠지만, OTT로 넘어가면서 배로 뛰고, 다시 줄어들지는 않는다"라고 짚었다.

    문제는 회당 수억원에 이르는 스타 배우들이 출연하지 않으면 작품 판매 시 터무니 없게 낮은 가격이 책정되거나 투자 단계부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이들 제작사가 울며 겨자먹기로 스타 배우들의 출연료 조건에 맞춰 기용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주연 배우 출연료 비중이 클수록, 당연히 제작비에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요소들은 지출이 어려워 질 수밖에 없다.

    한 제작사 대표는 "제작비에서 50%가 출연료로 지출된다고 봤을 때 가격 대비 좀 더 합리적인 배우를 캐스팅해 촬영이나 미술에 제작비를 더 투입함으로써 더 경쟁력 있고 더 작품성 있는 드라마를 만들 수도 있겠지만, 또 한편으로는 한 명의 배우에 올인해 캐스팅하고, 사업적 경쟁력을 올리는 게 맞을지도 모른다"고 말해 양자택일이 쉽지 않음을 밝혔다.
     
    한 제작사 관계자는 "회당 제작비가 15억 이상 들 때가 많아 향후 하향 조정이 필요하며, 배우, 작가, 제작사, 플랫폼이 연합된 힘으로 같이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유명 배우를 캐스팅해야 편성도 쉽고 해외 수출도 잘되므로 그러한 배우들만 개런티가 올라가고 그 배우들한테만 목을 매게 되는 것 같다. 대부분 사업성 있는 배우들만 찾는 건 알지만 다른 배우들에게도 기회가 주어져야 하고, 캐스팅 면으로도 폭을 넓혀봐야 할 거 같다"고 스타 배우 기용 없이도 드라마 제작 시도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제작사 대표는 "지금 만들고 있는 작품도 2년 간의 오디션을 통해 훌륭한 배우를 찾아내고 기용했으나 시사회 후, 좋은 작품이라는 평가에도 불구, 단지 스타 배우가 주인공이 아니어서 마케팅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구매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추는 너무나 큰 현실의 벽이 존재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합리적 문제 해결을 위해 회당이 아닌 제작 기간, 촬영 일수, 촬영 시간 등 기준으로 출연료를 책정해 지급하자는 방안도 제시됐다.

    한 제작사 관계자는 "탑급 배우 못지않게 중간 단계 배우들의 출연료가 크게 뛰는 것도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저는 계약을 할 때, 회당보다는 8~16부에 얼마를 받았으면 그냥 '턴키'처럼 한 작품의 촬영 기간 단위로 계약하자고 주장한다"면서 "출연료도 작품당 통 금액에서 상승분을 따지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 회당 단위로 출연료를 올리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밖에 52시간 근무제 시행 이후 스태프 비용 역시 많이 늘었고, 미술비와 CG 용역비 또한 상승한 점이 거론됐다.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는 "정부의 IP 보유 권장 정책 하에 선제작하는 작품의 편수가 과거 2년 동안 크게 늘었으나 방송사의 상황 악화로 인해 제작을 다 마치고도 표류하고 있는 작품이 20편 가까이 되며, 이에 약 3천억원 정도가 잠겨있다고 하는데 이는 업계에 상당한 타격을 가져올 수도 있는 상황"이라면서 "이에 시급하게 정부 유관기관이 나서서 해소 방법을 강구해야만 한다"라고 심각성을 알렸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