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작년 15조 적자 삼성전자 반도체, 1분기 흑자전환 기대감↑



기업/산업

    작년 15조 적자 삼성전자 반도체, 1분기 흑자전환 기대감↑

    지난해 4분기 적자 대폭 축소 속 D램 흑자전환 성공
    "HBM 판매량 분기마다 기록 경신"…낸드도 회복세
    파운드리 지난해 역대 최대 수주잔고 기록
    감산기조 유지에 수요가 공급 초과할 수도

    연합뉴스연합뉴스
    삼성전자 반도체가 올해 1분기 흑자전환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지난해 4개 분기 연속 적자로 15조 원에 육박하는 누적 적자를 기록했지만, 4분기 D램이 흑자전환하며 희망을 보였다. 여기에 낸드의 실적이 살아나기 시작했고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까지 지난해 연간 기준 최대 수주잔고를 달성했다.
     
    삼성전자는 31일 컨퍼런스콜에서 지난해 4분기 HBM과 DDR5, LPDDR5X 등 선단 제품 판매가 대폭 확대하며 D램 재고가 크게 개선됐고 그 결과 D램 사업이 흑자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다만 D램 사업의 흑자전환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의 전체 실적은 2조 18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누적 적자가 14조 8800억 원에 달한다. 
     
    4분기 적자 규모는 3분기보다 1조 5700억 원 감소했다. DS부문은 △메모리 반도체 △팹리스(반도체 설계)인 시스템LSI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등 3개 사업으로 구성된다.
     
    올해 1분기 역시 AI(인공지능)향 수요가 지속하면서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흑자를 예상했다. 그동안 D램과 달리 실적 회복에 어려움을 겪던 낸드 업황이 대폭 개선될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D램과 낸드 모두 3분기 대비 30% 중반대의 비트 그로스(Bit Growth·비트 단위로 환산한 생산량 증가율)를 달성했다. 특히 HBM과 DDR5 등 서버용 D램의 비트 그로스는 전체 D램 비트 그로스의 과반을 초과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HBM의 비트 판매량은 매분기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며 "4분기에는 전분기 대비 40% 이상 늘었고 전년 대비 3.5배 규모로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해 선단 제품의 비중은 상반기 판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하반기에는 비중이 90%에 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운드리도 실적 확대의 기대감을 키운다. 지난해 연간 기준 최대 수주잔고를 기록했고, 올해 1분기 AI 스마트폰과 PC 출시로 인한 수요 개선도 내다봤다. 올해 수요는 선단공정(첨단공정)을 중심으로 반도체 슈퍼사이클의 정점을 찍던 2022년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재고 감소 추세가 여전해 실적이 대폭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삼성전자는 또 반도체 업황 회복의 신호탄이 된 감산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업계는 감산을 시작으로 재고가 줄고 가격이 상승하면서 반도체 업황이 살아났다고 판단한다. 여기에 AI용 반도체의 경우 수요가 크게 부족한 상황이 발생하면서 일각에선 1분기부터 생산량을 정상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4분기 시황 개선 속도가 빠른 D램을 기준으로 재고가 상당히 감소했다"면서도 "하지만 상반기에는 선별적인 생산 조정을 이어가겠지만, 생산량 조정 기조의 변화는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기조 때문에 선단 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즉 △메모리 반도체 흑자전환 △파운드리 실적 회복 △감산 유지에 따른 수요 부족 등을 종합하면, 삼성전자 반도체가 1년 만에 흑자를 기록할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