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서울농장. 귀농을 희망하는 서울시민들의 안정적 농촌 정착을 지원하는 도농 교류 플랫폼으로 서울시와 부여군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부여군 제공충남 도내 소멸 위기 농촌지역의 인구 감소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관계 인구가 주목받는다.
삶의 터전을 옮기는 정주 인구에서 벗어나 농촌지역과 도시지역 주민 간 연결고리 역할을 통해 지속적인 관계를 맺게끔 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으로 이어진다.
7일 충남연구원에 따르면 '충남 농촌지역 살리는 관계 인구 창출 전략' 리포트에서 농촌지역을 살리기 위해 관계 인구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계 인구란 실제 (농촌)지역에 거주하지 않으면서 어떤 형태로든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생활 인구보다는 비주거성이 강한 편으로 통근·학이나 고향사랑기부제, 농촌체험마을 방문, 워케이션, 농특산물 구매, 출향민 등 정기·비정기·장기·단기·잠재적 체류자를 뜻한다.
리포트는 농촌지역(농촌주민)과 도시지역(도시민) 간 상호보완적 상생 관계를 만들고 지속적이고 심층적 교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계 인구 창출 대상을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도 했다.
리포트를 보면 농촌주민의 79.2%는 외부와의 교류가 마을 발전에 바람직하다고 응답했고 92.4%는 외부와의 교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한 도시민의 72.7%는 앞으로 농촌지역과의 지속적 관계를 유지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80.3%는 관계 인구가 농촌지역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 인식했다.
농촌지역 주민과 도시지역 주민 모두 교류에 호감을 느끼며 관계 인구에 대한 긍정적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는 의미다.
충남연구원 제공기존 정주 인구의 대안으로 관계 인구가 부상하면서 이를 정책에 녹이는 지자체들의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한 달 살기와 귀촌 체험 등을 시행하면서 도시와 관계를 맺으려는 정책들이다.
지난해 논산시가 고향사랑기부금 충청권 1위를 달성하고 올해 보령시가 생활인구 100만 명 달성을 목표로 958억 원을 투입하는 등 관계 인구 창출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모양새다.
특히 논산시의 경우 시민·기업·행정·교육·군인 등 지역 맞춤형 상호 협력과 5촌2도 정주 캠페인 등을 통해 관계인구 증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리포트는 설명했다.
부여군 장암면에 위치한 부여 서울농장은 지난해 방문 1712건, 7천여만 원의 매출을 올리기도 했다.
구체적인 관계 인구 형성 대안으로는 충남 지역대학 특성에 맞는 (가칭)Enjoy-Study 커리큘럼(농촌의 이해, 현장 탐방·체험 등) 개설 및 각종 시설 활용과 충남 도농 간 지속적 관계 형성을 위한 컨트롤 타워인 '충남 도농상생 관계 플랫폼' 구축 등을 제안했다. 베이밸리 메가시티의 일환으로 '충남&경기 도농상생 한마당의 날' 제정과 지역 간 교류 활성화 사업도 제안에 들어갔다.
유학열 선임연구위원은 "충남의 관계인구 창출을 위해서는 지역의 자원을 활용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특성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