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전 미 국무부 고위직 "제주4·3, 미국 책임 규명 함께할 것"

제주

    전 미 국무부 고위직 "제주4·3, 미국 책임 규명 함께할 것"

    [제주포럼 4·3세션]
    4·3 당시 미군정 묵인 대규모 학살
    로버트 갈루치 전 미 국무부 차관보 "인권 유린"
    "미군정 책임 규명 운동 함께할 것"

    허호준 한겨레 기자, 미군정 책임 근거 공개
    "미국 도덕적 책임 질 용기 필요"

    로버트 갈루치 전 미국 국무부 차관보. 고상현 기자로버트 갈루치 전 미국 국무부 차관보. 고상현 기자
    제주4·3 당시 미군정의 묵인 하에 대규모 양민 학살이 이뤄진 가운데 7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전 미국 국무부 고위관리가 4·3에 대해 발언했다. 그는 4·3을 "인권 유린과 잔혹한 행위"라고 칭하며 "미군정 책임을 규명하는 데 함께하겠다"고 강조했다. 29일 열린 제주포럼 4·3세션에서다.
     

    "4·3 미국 책임 묻기, 함께할 것"

     이날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4·3, 과거로부터의 성찰과 공존'이란 주제로 열린 제주포럼 4·3세션에는 로버트 갈루치 전 미 국무부 차관보가 참석해 그의 입에 관심이 쏠렸다. 4·3 당시 미군정 책임 논의가 이뤄지는 가운데 전직 미 국무부 고위관리가 4·3행사에 참석한 건 처음이어서다.
     
    그는 1994년 1차 북한 핵 위기 당시 미국 협상 대표로 참여해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낸 인물이다. 여러 차례 서울과 제주도를 방문하기도 했고 한국 정세에 대해서 잘 아는 지식인이다.
     
    로버트 갈루치 전 차관보는 "한국인에 대해서 정말 잘 알고 한국 문화에 대해서 감사하게 느끼고 있다. 하지만 요즘에는 고통을 느끼고 있다. 이 고통은 (4·3이라는) 인권 유린과 압제, 잔혹한 행위를 들어서다. 마음이 불편하다. 최근에야 불완전하지만 4·3에 대해서 알았다"고 설명했다.
     
    한겨레 허호준 기자가 4·3 당시 미군정 책임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고상현 기자한겨레 허호준 기자가 4·3 당시 미군정 책임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고상현 기자
    그는 "과거사에 있어서 잔혹한 행위가 있었다는 게 자명하다면 그에 대한 적절한 행동과 대응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논의해야 한다. 미국을 대표하는 사람들이 사실상 그러한 책임을 지고 가해자로서 대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그에 맞는 운동과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미국은 베트남전 등 과거 자신들이 저질렀던 잘못에 대해서 책임지려고 하고 있다. 고무적인 흐름이다. 다만 (4·3에 대해서) 신중하게 행동뿐만 아니라 감정 면에서 미국 책임을 어떻게 지게 할 것인지, 같이 전략을 짰으면 좋겠다. 그런 노력과 참여 움직임에 함께하겠다"고 강조했다.
     

    "미국, 4·3 도덕적 책임 질 용기 필요"

     이날 로버트 갈루치 전 미 국무부 차관보 발표에 앞서 한겨레신문 허호준 선임기자의 발표도 이뤄졌다. 그는 오랫동안 4·3 당시 미국 개입과 역할에 대해 취재해온 전문가다. 특히 4·3 당시 연합국최고사령부(GHQ) 문서를 직접 발굴하고 미 군사고문단 사령부 예비역 장교를 인터뷰했다.
     
    그는 발표에서 GHQ 문서 일부를 공개하며 4·3 당시 미군정 책임을 주장했다. 1948년 11월 초토화 작전 직전 주한미사절단 특별대표 문서에는 '제주도 공산주의자 섬멸하는데 (한국) 정부의 무능력'이라고 적혔다. 그 직후 이승만 정부는 제주에서 계엄령을 선포하고 양민 학살을 자행했다.
     
    허 기자는 "제주 현지 미고문관들조차 외부세력 침입 증거를 본 적이 없다고 했지만, '소련이 남한 테러 전초기지로서 제주를 택했고 소련 스파이들이 제주도에 침투했다'는 보고서는 미 국무부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을 것이다. 이는 이승만에게 제주 토벌 당위성을 부여했다"고 설명했다.
     
    한겨레 허호준 선임기자. 고상현 기자한겨레 허호준 선임기자. 고상현 기자
    그는 "미국이 과거 다른 국가문제에 개입했던 것에 대해 사과한 경험이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4·3에 대해서도 미국이 성찰하고 도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미국은 제주에서 (4·3이라는) 과거와 대면하고 이를 통해 우리는 함께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국과 미국이 제주의 과거와 용기 있게 대면한다면 이는 세계를 향한 울림을 만들어내고, 한미 양국의 신뢰는 더욱 깊고 두터워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좌장을 맡은 문정인 연세대학교 명예특임교수도 "국가 공권력 남용에 있어서 미국의 역할에 대한 역사적 사료들이 발굴되고 있다. 그 내용을 보면 미국이 치외법권적인 지위로 남아있지 않느냐는 문제 제기가 많다. 이 문제를 마무리 지어야 4·3모델의 국제화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제주포럼 4·3세션. 고상현 기자제주포럼 4·3세션. 고상현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