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LG전자, AI시대 맞춤형 글로벌 냉난방공조 엔지니어 양성



기업/산업

    LG전자, AI시대 맞춤형 글로벌 냉난방공조 엔지니어 양성

    미국,유럽, 아시아 등 냉난방공조 엔지니어 3만 7천명 양성
    B2B 사업 확대 일환
    AI시대 데이터센터 증가…냉난방공조 시스템 중요도↑

    LG전자가 글로벌 냉난방공조 시장의 탑티어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43개 국가, 62개 지역에서 매년 3만 명이 넘는 냉난방공조 엔지니어를 양성하고 있다. 각지의 아카데미는 LG전자가 B2B HVAC 사업을 확대해 나가는 거점 역할을 한다. 사진은 미국 보스턴 아카데미. LG전자 제공LG전자가 글로벌 냉난방공조 시장의 탑티어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43개 국가, 62개 지역에서 매년 3만 명이 넘는 냉난방공조 엔지니어를 양성하고 있다. 각지의 아카데미는 LG전자가 B2B HVAC 사업을 확대해 나가는 거점 역할을 한다. 사진은 미국 보스턴 아카데미. LG전자 제공
    LG전자가 글로벌 냉난방공조 시장에서 우뚝 서기 위해 세계 43개 국가, 62개 지역에서 매년 3만 명이 넘는 냉난방공조 엔지니어 양성에 힘쓰고 있다.

    13일 LG 전자에 따르면   LG전자는 북미와 중남미, 유럽, 아시아 등 전세계 각지에서 주거·상업용 냉 난방 시스템, 고효율 칠러 등 LG전자의 다양한 공조 제품 설치와 유지관리 교육을 진행하는 '글로벌 HVAC 아카데미'를 운영 중이다. 올해 약 3만 7천명이 교육을 이수할 예정이다.

    LG전자가 냉난방공조 엔지니어 양성에 힘쓰는 것은 냉난방공조 솔루션을 설치·관리하는 현지 인력을 육성해 글로벌 B2B 사업 확대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겠다는 목표다

    시장조사기업 IBIS 월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글로벌 냉난방공조 시장규 모는 약 584억 달러로 추정된다.

    LG전자의 HVAC 사업은 최근 AI 시대를 맞아 글로벌 기업들이 연이어 데이터센터나 반도체 공장 등 AI 후방산업에 대한 인프라 투자를 단행하며 더욱 주목받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방대한 전력 소비량과 서버 효율 유지를 위한 열 관리의 중요성으로 인해,  고효율·고성능 냉각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수로 여겨진다.  

    AI 데이터센터에서 소비하는 전력량은 일반적인 데이터 센터보다 7배가량 많은 것으로 추산되는데, AI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되는 전력 상당수가 냉각용으로 냉난방공조 사업이 AI 데이터센터 인프라 투자의 핵심 수혜주로 꼽히는 이유다

    LG전자가 글로벌 냉난방공조 시장의 탑티어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43개 국가, 62개 지역에서 매년 3만 명이 넘는 냉난방공조 엔지니어를 양성하고 있다. 미국 보스턴 아카데미에서 스티브 스카브로 LG전자 미국법인 상업용에어컨담당이 엔지니어들에게 LG전자의 다양한 냉난방공조 제품을 설명하고 있다. LG 전자 제공LG전자가 글로벌 냉난방공조 시장의 탑티어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43개 국가, 62개 지역에서 매년 3만 명이 넘는 냉난방공조 엔지니어를 양성하고 있다. 미국 보스턴 아카데미에서 스티브 스카브로 LG전자 미국법인 상업용에어컨담당이 엔지니어들에게 LG전자의 다양한 냉난방공조 제품을 설명하고 있다. LG 전자 제공
    LG전자는 앞서 지난해 7월 '2030 미래비전'을 발표하며 B2B 사업에서 중요한 축 을 차지하는 가정·상업용 냉난방공조 사업 매출을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성장시켜 글로벌 탑티어 종합공조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북미, 유럽 등 주요 지역에 연구개발부터 생산, 영업, 유지보수로 이어지는 '현지 완결형 사업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LG전자 H&A사업본부 에어솔루션사업부장 이재성 부사장은 "세계 각지의아카데미를 현지 엔지니어들의 역량을 높이고 고객과의 접점을 늘려 나가는 글로벌 HVAC 사업의 핵심 인프라로 꾸준히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