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춰있는 공사 현장. 박종민 기자부동산 시장 회복세가 나타난 수도권과 달리 여전히 침체 분위기가 감도는 비수도권에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율이 최고 22%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PF 연쇄 부실 위기는 가라앉았지만 비수도권의 부실 정리는 속도가 더딘 모습이다.
27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비수도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48조3천억원이다. 수도권(82조1천억원)을 포함한 전체 잔액 130조4천억원에서 37%를 차지한다.
비수도권 PF 대출 연체율은 3.86%로, 서울(2.93%)과 경기(2.77%)에 비해 한참 높았다. 비수도권 중 부동산 PF 대출잔액이 가장 큰 지역은 부산(9조8천억원), 대구(8조9천억원), 경남(4조4천억원), 광주(3조9천억원), 충남(3조5천억원) 등 순이었다.
세종은 3천억원으로 대출잔액 규모가 작았지만 연체율은 22.0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제주 8.92%, 울산이 8.07%, 전남이 7.4%, 경남이 5.49%, 대구 4.65% 등이 높은 축에 속했다.
비수도권의 토담대 잔액은 10조1천억원으로 수도권(14조원)을 포함한 전체 토담대 잔액의 42%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토담대 잔액은 부산이 2조4천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충남(1조3천억원)과 광주(1조원), 경남(7천억원)이 뒤를 이었다.
사업 초기 토지를 담보로 대출하는 토담대는 2금융권에서만 취급돼왔다. 사업성으로 대출을 내어주는 브릿지론과 유사한 성격이지만 규제 수준이 낮고 정확한 수치도 알려지지 않아 '숨겨진 부실'로 알려졌다.
비수도권 토담대 연체율은 15.33%로 수도권(13.89%)보다 1.44%p 높은 상황이다. 지역별 연체율은 전남이 28.06%로 가장 높았고, 제주(27.36%), 경남(26.38%), 대전(23.79%), 강원(19.81%) 등이 뒤를 이었다.
금융당국은 부동산PF 연착륙이 더딘 지방과 비주거시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연내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 부동산 PF 부실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도 준비하고 있다.
PF 연쇄 부실의 근본 원인으로 지적되는 시행사의 저자본-고차입 구조를 개선하고 PF대출 시 사업성 평가를 강화하는 방안, PF 시장 참여자에 대한 건전성 관리, 정보관리 체계화 등이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