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주 기자분기말 효과 소멸로 인한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전월보다 45억9천만달러 줄었다. 지난해 12월 2억1천만달러 증가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천110억1천만달러로 전월 말(4천156억달러)보다 45억9천만달러 줄었다.
지난해 12월엔 고환율에도 불구하고 외환보유액이 전월보다 2억1천만달러 늘었지만,올해 1월부터 고환율 장기화 조짐과 분기말 효과 소멸 등으로 외환보유액 잔고가 본격적인 하락 곡선을 그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한은은 "분기말 효과 소멸로 인한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감소,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왑 확대,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조치 등으로 1월말 외환보유액이 전월보다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보면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천620억2천만달러)이 46억5천만달러,
IMF포지션(41억9천만달러)이 2천만달러 각각 감소했고,예치금(252억9천만달러)이 7천만달러 증가했다.
금은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은 47억9천만달러를 유지했다.
외환보유액 규모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4천156억달러)으로 세계 9위를 유지했다.
중국이 3조2천24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1조2천307억달러)과 스위스(9천94억달러),인도(6천357억달러),러시아(6천91억달러),대만(5천767억달러),사우디아라비아(4천366억달러),홍콩(4천215억달러)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