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제주

    제주 희귀식물 초령목 만개…지난해보다 2주 늦어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봄의 전령사 초령목 만개 확인

    제주에 자생하는 초령목이 꽃을 피웠다고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가 17일 밝혔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제주에 자생하는 초령목이 꽃을 피웠다고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가 17일 밝혔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제주에 자생하는 희귀식물 초령목이 지난해보다 2주 늦게 꽃을 피웠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초령목의 만개를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초령목은 지난 2020년, 2021년, 2024년에 개화가 관측됐는데 올해 초령목은 지난해보다 2주가량 늦게 꽃이 피었다.

    초령목은 20m 이상까지 자라는 상록성의 큰키나무로, 목련과 식물 중에서 가장 먼저 꽃이 피어 봄의 전령사로도 알려져 있다.

    꽃의 크기는 작은 편이만, 아래쪽에 붉은 보랏빛이 감도는 아름다운 흰색 꽃이 달려 우아한 매력을 뽐낸다.

    중국, 일본, 대만, 필리핀 등에 분포하는 초령목은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전라남도의 일부 섬 지역에만 자생한다.

    제주에 자생하는 초령목이 꽃을 피웠다고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가 17일 밝혔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제주에 자생하는 초령목이 꽃을 피웠다고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가 17일 밝혔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지난 2017년에는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가 제주 지역의 집단 자생지를 발견했다.

    난대·아열대 연구소는 제주의 초령목이 주로 하천 사면에 자라고 있어 강풍과 집중호우로 소실될 위험에 놓여 있다며 개체수가 적어 보존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또 약용과 관상용, 목재용으로 잠재 가치가 높아 자생지 보전 방안 마련과 자원육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임은영 박사는 희귀하고 유용한 제주의 식물자원인 초령목의 보존과 활용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증식 기술 개발과 자생지 보존 기초 연구를 지속해서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