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지난해 폐업자 100만명 넘었다…'통계 집계 이래 최초'

경제정책

    지난해 폐업자 100만명 넘었다…'통계 집계 이래 최초'

    소매업·음식점업 비중이 45%에 달해
    코로나19 이후 사업 부진과 고금리로 인한 연체율 악화 등
    2023년부터 폐업자 빠르게 늘어나

    연합뉴스연합뉴스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이중 소매업·음식점업 비중이 45%에 달했다.

    6일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100만8282명으로 집계됐다. 경기 침체에 따른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여실히 드러난 모습이다.

    특히 199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초로 100만명을 넘겼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누적된 사업 부진과 고금리로 인한 연체율 악화 등으로 2023년부터 폐업자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폐업자는 2019년 92만2159명에서 3년 연속 감소하다가 2023년 11만9195명 급증하며 98만6487명을 기록했다. 그러고 나서도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증가하며 100만명대로 진입했다.

    폐업률도 2년째 상승세다. 폐업률은 전체 가동 사업자와 폐업자 합계 대비 폐업자 수 비율이다.

    지난해 폐업률은 9.04%로 전년(9.02%)보다 소폭 올랐다. 지난해 운영한 사업자 가운데 약 9%가 그해 폐업했단 의미다.

    폐업자는 내수 밀접 업종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전체 52개 업종 가운데 소매업 폐업자가 29만9642명으로 전체의 29.7%를 차지했다.

    소매업 폐업자는 2만4054명 늘며 전체 업종 가운데 증가 폭도 가장 컸다. 이어 음식점업(15.2%), 부동산업(11.1%), 도매 및 상품중개업(7.1%) 순으로 비중이 컸다.

    소매업과 음식점업을 합하면 전체의 약 45%에 달한다. 지난해 건설경기 불황에 건설업 폐업자도 4만9584명을 기록해 4.9%에 달했다.

    폐업률도 소매업과 음식점업에서 높았다. 지난해 폐업률은 업종별로 소매업(16.78%), 음식업(15.82%), 인적용역(14.1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소매업 폐업률은 2013년(17.72%)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고금리에 민감한 재화 소비가 줄어든 데다가 온라인화·무인화 추세가 계속되는 영향으로 분석된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