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로선 오는 19일 후진타오(胡錦濤) 주석과 오마바 미 대통령간의 정상회담 의제 가운데 아무래도 북한 핵문제가 가장 큰 관심을 끈다.
중국은 북한핵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추이톈카이(崔天凱) 중국 외교부 부부장의 지난 14일 언급을 보자. "북한의 우라늄 농축활동은 내가 알기론 중국인이 아직 현장에서 본 적이 없는 걸로 알고 있다.
현장에서 본 사람은 미국의 일부 전문가들이고 그들이 미국으로 돌아간 뒤 나오는 보도들을 보면 아직 사실인 지 명확하지 않다"며 추이 부부장은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에 대해 깊은 불신을 드러냈다.
북한핵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이런 불신과 불만은 지난 수차례의 경험에서 비롯된다.
북한은 여태껏 중국에게 핵시설을 공개한 적이 단 한번도 없으며, 북핵 문제는 북·미간의 사안이므로 중국은 개입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북한은 2006년 10월 1차 핵실험 당시 2시간 전에야 중국에 핵실험 강행사실을 통보했고, 2009년 5월 2차 핵실험때는 불과 28분전에야 통보해 후견국을 자임하는 중국의 자존심을 구기게 만들었다.
또 북한의 1차 핵실험당시 핵 폭발력은 1kt(1kt=TNT 1000t)미만, 2차때는 4.5kt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렇지만 전문가들은 핵실험에서 15~20kt 정도의 폭발력이 있어야만 핵실험으로서의 유의미한 자료수집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북한이 핵무기 소형화에 성공했거나, 아니면 아직 핵능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얘기다.
중국은 북한핵을 후자의 경우로 본다. 북한핵 논의 무대로 중국은 6자회담을 제안한다.
북한의 1,2차 핵실험 과정을 거치며 유엔이 이미 대북제재 결의안 1718호와 1874호를 통해 촘촘한 대북제재망을 갖추고 있는 마당에 또다시 유엔안보리로 가져가는 게 의미가 없으며 6자회담의 틀안에서 논의하는게 적절하다는게 중국의 생각이다.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위해 주변환경의 안정을 원해온 중국은 그동안 북한핵 보유에 대해 누구보다 펄쩍뛰는 태도를 보여왔다.
1
중국이 유엔의 대북제재에 동의한 게 2차례였는데, 2차례 모두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된 것이었다.
중국정법대 문일현 객원교수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지역 위기를 관리·통제할 수있는 기제가 마련되는 등 미·중 양국간 협력이 확대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북한 핵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해법을 놓고 미·중간에 딜(deal)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남·북한이 모두 빠진 상태에서 미·중 양대 주변국이 또다시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고 결정하는 일이 반복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