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기자수첩

    한국일보와 YTN ... 자유를 묻다

     

    테마가 있는 고품격 뉴스, 세상을 더 크고 여유로운 시선으로 들여다보는 CBS <김현정의 뉴스쇼=""> '기자수첩 시즌2'에서는 정의롭지 못한 것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담았다. [편집자 주]

    한국일보 사태는 아직 해결이 멀어 보인다. 편집국 전면 폐쇄와 기자 전원 축출이라는 것은 정말 상상치 못한 경영진의 대응이었다. 편집국 폐쇄에 대해 논설위원들이 사설을 거부하고 있고 사측은 통신사 뉴스로 채운 또 다른 한국일보를 인쇄해 내고 있다.

    논설위원들은 사태를 이렇게 설명한다.

    “이 사태는 언론사란 보호막에 싸여온 경영의 비리와 탈법, 부도덕의 적폐를 이제는 털어내 한국일보를 바로 세워야 한다는 데 200여명 기자 거의 전원이 뜻을 모은 것이 그 발단이다. 이에 대해 경영진이 부당한 인사조치에 이어 급기야 편집국 폐쇄라는 가장 최악의 선택으로 국면을 돌파하려 했다가 파국을 자초한 것이다”.

    사측은 한국일보는 편집국 부장 전원과 기자들이 정상적으로 신문을 만들며 정상적으로 경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 한국일보에서 당신들은 그러면 안 된다

    논설위원들의 지적은 충분히 타당하다. 창업주 고 장기영 씨, 그 뒤를 이은 장남 고 장강재 씨가 세상을 뜬 이후 한국일보는 계속 내리막길을 걸어왔다.

    미디어 환경이 신문경영에 불리해지는데도 한국일보 사주 가족들은 삼촌과 조카,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얽히며 재산 싸움을 벌였다. 거기에 해외 원정도박, 횡령/배임 의혹 등 온갖 스캔들과 비리의혹이 이어졌다.

    한국일보라는 미디어 그룹은 한국일보, 그 자매지인 영자신문, 경제신문, 스포츠신문, 어린이신문, 주간지, 미주한국일보로 쪼개져 가족들이 나눠 가졌다. 이런 언론이 국민의 신망을 얻고 커 나갈 수 있겠는가. 기자들이 열악한 대우를 참아가며 아무리 발버둥쳐도 속수무책일 수 밖에.

    한국일보 비상총회

     

    기자가 글을 쓴다는 것이 얼마나 멋진 작업인가 가르쳐 준 것이 한국일보였다. 김훈, 박래부 두 선배기자의 ‘문학기행’은 신문을 사서 스포츠 소식보다 때로는 두꺼비 만평보다 먼저 읽던 문학기행의 그 유장한 글들은 지금 생각해도 고맙다. 세상 보는 눈을 틔워 주던 장명수 위원의 칼럼들, 아직도 몇 편은 스크랩해 갖고 있다.

    한국일보에 ‘기자 사관학교’라는 별칭이 붙어도 될 만큼 한국일보는 여러 면에서 당시 언론과 기자사회를 선도해 나갔다. 그런 자부심으로 한국일보 기자들 역시 기자의 모범이 될 모습들을 보였고 새로 창간하는 신문마다 한국일보 기자들을 스카웃하기 위해 열을 올렸다.

    1974년 10월 당시 중앙정보부가 한국일보 기사를 문제 삼아 편집국 간부들을 연행하자 한국일보 기자들이 ‘민주언론 수호 결의문’을 발표했다. 기자들은 이 선언문을 신문에 실으라고 사측에 요구하며 농성을 벌였다.

    결국 유신정권의 언론탄압이 신문에 보도되는 획기적인 일이 벌어졌다. 그리고 이 사건으로 관련자들이 인사조치를 당하자 한국일보 기자들은 1974년 12월 10일, 서울시에 노조 설립을 신고했다. 당국은 노조 설립을 불허했고 이에 맞선 노조설립 법정투쟁이 전두환 5공 세력 때까지 7년 간 이어진다.

    그로부터 13년 뒤 1987년 10월29일 밤. 필자가 보도국 숙직근무 중에 누가 문을 열고 들어 와 보도요청 문건을 내밀었는데 한국일보 기자들이었다. “저희가 노동조합을 결성했습니다”. 언론사 최초의 노동조합 출범이 결국 한국일보에서 이뤄진 것이다.

    한국일보가 부러운 것은 또 있었다. 바로 백상 장기영 회장이다. 비언론인으로서 한국일보를 맡아 경영하며 뛰어난 사업수완을 발휘했지만 편집국과 기자들만큼은 저널리즘의 정도를 가도록 힘쓴 걸로 유명하다. 취재 기자가 현장으로 출동하려고 서두르는 모습을 보자 자신의 명품 지프차를 내주며 타고가라 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기자를 공개채용한 것도 한국일보이다. 5.16 쿠데타 세력이 공화당을 만들어 장기집권에 들어가려는 걸 비판했다 감옥 가고 휴간한 것도 한국일보, 기자를 처음 해외연수 내보낸 것도 한국일보, 기자채용 때 학력을 따지지 않겠다고 한 것도 한국일보 ... 그래서 베트남 전쟁 때 최후까지 특파원이 남아 기사를 송고하며 취재혼을 불태운 언론사도 한국일보였다.

    이것이 한국일보 정신이라고 언론계는 늘 이야기해왔던 것. 이런 한국일보에서 경영진이나 간부진들 정말 거기서 그러면 안 된다.

    ◇ YTN 해직기자들, 자유를 걷는다

    YTN 기자들이 국토순례 중이다. ‘해직 5년을 걷는다’, ‘공정방송’이라고 쓴 깃발을 들고 걷는다. 이들이 찾아다니는 곳은 언론이 외면하고 왜곡했던 그래서 죄스러운 현장들이다. 5.18 묘역, 울산 현대차 비정규직 철탑농성장, 진주의료원, 밀양송전탑 .....

    이들이 국토순례를 마치고 돌아오길 기다리며 취재현장을 지키던 YTN 기자들은 ‘국정원의 정치개입으로 의심되는 SNS글 2만 건을 새로 찾았다’는 단독보도를 끈질긴 분석취재를 통해 내보냈다.

    그런데 간부들이 이 기사를 막아 버렸다. 특종을 더 키우고 진실의 밑바닥까지 훑으려 취재인력을 보강하고 취재를 지원해야 할 사람들이 방송에서 뉴스를 빼내 버렸다.

     

    편집국 책임자들은 ‘리포트 내용이 어렵고 애매하니 그만 내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한다. 기자와 담당부장이 판단해 단독 특종보도라고 보도할 때는 언제고 이제 와 문제 기사라는 것인가.

    {RELNEWS:right}경쟁 방송사 간부로서 읽어보니 샘 날만큼 열심히 취재한 좋은 기사이던데 정작 자사 간부들은 이해를 못하는 것일까?

    YTN측은 지난 14일에는 국정원 대선개입과 관련한 검찰의 수사발표 생중계를 예고까지 한 상황에서 갑자기 취소시키기도 했다. 권력기관의 압력을 받아서 뺐다고 해도 문제이고 압력이 없었는데 알아서 뺏다고 해도 문제다.

    언론의 자유는 언론사와 언론사주의 자유가 아니다. 언론을 주무를 수 있는 권력의 자유가 아니다. 그것은 국민이 듣고 보고 따질 자유이다. 언론의 자유가 국민 모두가 아닌 일부만의 자유라면 그 자유는 아예 없는 것보다도 위험할 수 있다.

    그 일부가 국민을 지배하고 기만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국민은 자신의 자유를 위해 자신이 필요로 하는 언론을 가려내야 한다. 그리고 함께 해 주셔야 한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