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노동계 "노동자 평균 임금의 반은 받자" vs 재계 "이미 평균임금의 절반 다다랐다"

경제정책

    노동계 "노동자 평균 임금의 반은 받자" vs 재계 "이미 평균임금의 절반 다다랐다"

     

    2014년 최저임금이 법정 시한을 넘긴 채 결정되지 않은 가운데 최저임금 결정 기준을 두고 노사가 팽팽히 맞붙었다.

    민주노총 김은기 정책국장과 경영자총연합회 김동욱 본부장은 28일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해 격론을 벌였다.

    ◈勞 “노동자 정액급여의 50%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 vs 使 “이미 최저임금 높은 수준”

    민노총의 김은기 국장이 5910원을 주장한 이유에 대해 먼저 말문을 열었다. 김 국장은 임금의 생활보장적 성격을 강조하며 2012년 전체 노동자 정액급여의 50% 까지는 최저임금을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액급여란 전체 임금 가운데 상여금, 초과근로수당 등을 제외한 통상임금을 의미한다.

    노동계는 초과근로수당, 상여금등을 뺀 정액급여의 평균인 234만원의 50%를 최저임금으로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경총의 김동욱 본부장은 이미 최저임금은 노동생산성에 비해 많이 오른 상태라며 인상 자제를 당부했다.

    김 본부장은 현재의 최저임금도 전체 임금근로자로 범위를 넓히면 이미 전체임금근로자 급여의 48%수준까지 올라와 있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노동계가 주장하는 노동자의 평균 정액급여는 5인 이상 상용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라며 “실제로 최저임금 적용대상자의 절반정도가 1인에서 4인 미만의 작업장에서 일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이들까지 포함시키면 최저임금은 이미 전체 임금근로자 급여의 절반수준에 이르렀다”고 강조했다.

    ◈勞, 생계비 증가 반영 안돼 있다 vs 使, 생계비 조사 정확하지 않아

    최저임금 인상은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노동계 의견을 대변하는 김 국장은 우리나라의 양극화 문제를 지적하며 “소득격차 개선과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해서라도 최저임금의 인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국장은 “2012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상위 10%와 하위 10%의 소득격차는 5배 이상”이라며 왜곡된 소득분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라도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김 국장에 따르면 최저임금을 받는 노동자 대부분 시간제 근로자기 때문에 주휴수당이나 연차수당, 상여금 등을 받을 수 없다.

    이런 이유 때문에 ‘달’이 아닌 ‘시간당’ 정액급여를 따지면 현재의 최저임금은 전체 임금 근로자 시간당 급여의 36% 수준이다.

    김 국장은 또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34세 이하 근로자의 지난 한 해 동안 생계비는 7,6% 올랐다"며 경총이 생계비를 반영한 최저임금을 주장한다고 하지만 실상은 생계비 인상에 한참 못 미친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재계는 "수치는 인정하지만 해석이 잘못됐다"며 조사대상의 표본이 80명도 안 되는 적은 수준인데다 조사대상에는 고액 연봉 근로자도 포함돼 있어 생계비가 높게 나온 면이 있다고 반박했다.

    재계의 입장을 대변하는 김 본부장은 또 한국개발연구원의 조사결과를 인용하며 최저임금을 받는 근로자 대부분 부모님을 둔 학생, 맞벌이 주부 등 전체 가구 소득만 놓고 봤을때는 최저임금근로자의 80%정도는 취약계층이 아니기 때문에 최저임금 인상이 소득격차를 줄이는 효과는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노사 양측 모두 "협상 이뤄지도록 노력 하겠다"

    다음달 4일 예정된 7차 전원회의에서는 과연 최저임금 결정이 이뤄질까?

    재계는 “사용자 위원등과 만남을 가지면서 논의한 뒤 공익위원, 근로자 위원과 물밑접촉을 하면서 합의점을 찾아가겠다”며 “상대편 입장에서 한 발 물러서는 입장을 기대한다”고 말해 어느정도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내비쳤다.

    노동계는 “공익위원들이 대통령의 노동 소득 격차 해소 의지를 반영해서 올해 경제지표 등을 고려한 합리적인 대안을 내놓으면 협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