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각에서 9월 금융위기설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주요 금융종사자 10명 가운데 8명은 1년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에 리스크(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거나 보통으로 생각했다. 반면 10명 가운데 2명만 높다고 봤다.
우리 금융시스템의 핵심 리스크로는 '중국 등 신흥국의 성장 둔화'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새로 떠오른 반면 '유로지역 위기’와 '환율 갈등'은 후순위로 밀려났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은이 우리나라의 금융시스템 리스크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외 77개 금융기관 종사자 9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년 이내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자는 47%로 나타났다. 35%는 '보통'이라고 답했으며, '높다'는 18%에 불과했다.
특히 해외조사대상자는 75%가 '낮다', 25%는 '보통'이라고 답해 '높다'고 본 사람은 0%였다. 그만큼 해외에서 우리 금융시장을 더 안정적으로 본다는 의미다.
지난 1월 조사와 비교해 보면 낮다는 응답은 4%포인트 하락한 반면 높다는 응답은 1%포인트 상승했다. 최근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일부 신흥국 금융시장의 불안한 흐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년 이후 3년 이내에 금융시스템에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는 응답이 29%로 '높다'는 응답 25%보다 조금 많았다. 단기보다 중기 리스크의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본다는 것이다.
우리 금융시스템이 직면한 5대 핵심리스크로는(복수응답) ▶중국 등 신흥국 성장 둔화(78%) ▶미국 양적완화 축소(77%) ▶가계부채 문제(71%) ▶기업 신용위험 증가(46%) ▶주택가격 하락(44%) 등을 꼽혔다.
1월 조사 때와 비교하면 '중국 등 신흥국 성장 둔화'가 24%에서 78%로, '미국 양적완화 축소'가 50%에서 77%로 응답 비중이 높아지면서 새로 추가된 반면, '유로지역 위기'와 '환율 갈등'은 제외됐다.
'가계부채 문제'와 '기업 신용위험 증가', '주택가격 하락'은 1월 조사 때도 포함됐지만 응답비중은 각각 82%에서 71%로, 53%에서 46%, 57%에서 44%로 하락했다.
리스크가 발생한면 그 시기는 '미국 양적완화 축소'가 단기(1년 이내), '중국 등 신흥국 성장둔화', '기업 신용위험 증가' 및 '주택가격 하락'은 중·단기(3년 이내)가 될 것으로 인식했다. 가계부채 문제는 중기(1~3년 사이) 리스크로 생각했다.
발생확률과 영향력은 '중국 등 신흥국 성장 둔화', '미국 양적완화 축소', '가계부채 문제'가 높았다. '기업 신용위험 증가'와 '주택가격 하락'은 중간이라고 답했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향후 3년의 신뢰도는 40%가 '높다'고 응답한 반면 '낮다'는 응답은 7%에 그쳤다. 우리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가 높다는 의미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17일부터 24일까지 국내 금융기관 경영전략 및 리스크 담당 부서장, 금융시장 참가자(펀드매니저 등) 74명과 해외 자산운용사 한국투자담당자 16명 등 77개 금융기관 90명을 상대로 면담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