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지난 97년 이후 제자리 걸음

기업/산업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지난 97년 이후 제자리 걸음

    한국경제연구원 보고서, 여성인력 활용 정책 보완 시급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경활율)이 지난 1997년 이후 50% 수준으로 줄곧 제자리 걸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의 '출생연도별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997년 이후 여성의 경활율이 50%수준에서 머물러 있어 여성인력 활용 정책의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0대 후반과 30대 초반 여성의 경활율은 최근 출생 세대일수록 증가했으며 특히 20대 후반의 경우 1968년생과 1976년생의 경활율이 각각 48%와 63%로 무려 15%p가 증가했다.

    30대 초반 여성의 경활율도 1968년생은 48%, 1976년생은 53%로 5%p 증가했다.

    이는 여성의 출산·육아시기가 20대 후반에서 30대로 늦추어지고 있는 추세가 반영된 결과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반면 30대 후반부터 60대 초반 여성의 경활율은 최근 출생 세대일수록 감소 혹은 출생연도와는 무관한 정체 추이를 보였으며 특히 고졸 이하 학력의 여성들 사이에서 정체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또한 2·30대 여성의 경제활동을 저해하는 요소는 육아때문으로 분석됐는데 육아로 인해 경제활동에 제약을 받는 여성의 비중이 20대 후반 연령대에서는 감소한 반면 30대 후반 연령대에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진영 부연구위원은 "그동안의 여성고용정책은 여성복지정책과 많은 부분 중첩되면서 저소득층 중심의 출산·육아 정책에 편중돼 왔다"고 분석하면서 "여성 경활율 제고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30대 후반 여성을 위한 육아정책이 복지정책에서 취업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하고, 40대 이상 여성을 위한 재취업 지원책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정부 정책의 키워드인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위해선 노동의 공급측면 뿐만 아니라 노동의 수요측면을 고려한 정책을 시행해 여성 경활율 제고가 여성 고용률 제고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