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가 침몰한 전남 진도군 관매도 인근 해상에서 잠수부들이 구조할동을 벌이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대형바지선과 ROV(원격조종 무인 수중탐사장비, remotely-operated vehicle)와 같은 각종 장비가 투입되면서 세월호 수색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20일 오후에 30명의 잠수사가 숙식가능한 바지선과 일반 바지선이 현장에 도착한데 이어 21일 밤 자정에는 잠수사 50명이 숙식가능한, 국내에서 가장 큰 바지선이 도착할 예정이다.
구관호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정보수사과장은 19일 오전 브리핑에서 “바지선에 잠수부들이 많이 대기하고 있다가 동시에 많은 인력들이 투입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 동안 잠수사들은 앞도 잘 보이지 않고 조류가 거센 물 속에 들어가 수색작업을 한 뒤 제대로 쉬지도 못하고 또 다시 수색작업을 하는 일을 반복해야만 했다.
이같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20일부터 대형 바지선을 현장에 투입한 것이다. 특히, 이들 바지선은 해저에 고정이 가능해 조류가 강한 해역에서도 큰 흔들림 없이 잠수부들의 휴식과 작업준비 등을 도울 수 있다.
거센 조류를 견딜 수 있는 ROV 두 대도 미군에서 빌려 20일 밤에 투입됐다.
범정부사고대책본부는 사고 초기에는 야간 구조작업 때 조명탄만 사용해 오다, 주변을 환히 비추는 오징어잡이 배나 채낚시 어선을 추가로 투입했다.
문제는 왜 이같은 수색 및 수색지원 장비들이 사고 초기가 아닌, 생존의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72시간이 지나고나서 뒤늦게서야 투입되고 있느냐는 것이다.
대형 해양재난사고에 대비한 제대로 된 매뉴얼을 평소에 갖추고 있었다면 이같은 일이 벌어지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더욱이 바지선과 오징어잡이 어선 투입 등은 실종자 가족들이 나흘 전인 지난 17일부터 당국에 요청했던 사안이었다.
사고대책본부는 실종자 가족들의 요청이 있고 난 뒤에야 바지선과 같은 장비를 수소문하느라 1분 1초가 아까운 귀중한 시간을 허비했다.
대형재난에서는 무엇보다도 ‘초동대처’가 중요하다. 초동대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수 백명의 생과 사가 갈린다. 하지만 재난당국은 사고 초기에 허둥대기만 했다.
해양경찰청은 대형해양재난에 대비해 평상시 크레인과 바지선, 예인선을 보유한 40여개 구난업체 리스트를 1년에 한 번씩 업그레이드해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번에 뒤늦게 동원된 업체 중에는 관리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업체도 있다.
해양경찰청 관계자는 “이번 사고는 20~3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사고”라고 말해, 제대로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었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