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이번엔 반드시"…靑, 세번째 총리 후보 인선작업 착수



대통령실

    "이번엔 반드시"…靑, 세번째 총리 후보 인선작업 착수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사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

     

    문창극 총리 후보자가 24일 자진사퇴함에 따라 청와대가 새 총리 후보자 인선작업에 착수했다.

    법조인 출신의 안대희 전 후보자와 언론인 출신의 문창극 전 후보자가 연거푸 낙마함에 따라 새 총리 후보의 최우선적인 인선기준은 청문회 통과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여야관계와 언론관계가 원만하고 공개검증에 상시적으로 노출돼 자기관리를 엄격하게 할 수 밖에 없는 정치인 출신이 총리 후보로 주목을 받고 있다.

    충남지사 출신의 심대평 지방자치발전위원장, 7.30 재보선 출마 얘기가 나오고 있는 김문수 경기지사, 새누리당 원내사령탑 이완구 원내대표 등의 이름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법조인 출신이나 저명한 학자 출신도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하마평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총리 후보자가 잇따라 고배를 마심에 따라 지난 4월 27일 사의를 표명한 정홍원 총리를 그대로 써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지만 이미 박 대통령이 사의를 수용하겠다고 밝힌 만큼 현실성은 떨어진다.

    새 총리 후보자 인선작업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미 두차례나 총리 후보를 고르는 과정에서 후보군이 형성돼 있고, 이들에 대한 일차적인 검증도 끝났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쓸 만한 사람은 안한다고 고사하고, 하겠다고 하는 사람은 검증에 문제가 있다'는 말처럼 그동안 검토해 왔던 후보군 가운데는 이미 총리직을 제의받고 고사한 인사도 많고, 하겠다는 사람들은 청문회 통과를 장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참신하고 새로우면서도 청문회를 통과할 사람을 고르기 위해 심사숙고하다보면 꽤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청문회 통과 가능성 뿐만 아니라 정책 능력,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충실히 보좌할 수 있는지 등 여러가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물리적 시간이 필요하지 않겠다는 시각도 있다.

    한편에서는 총리 후보자가 2회 연속 낙마한 만큼 세번째 총리 후보에 대해서는 야당도 검증의 잣대를 다소 완화하지 않겠냐는 얘기도 나온다.

    자칫 잘못하면 야당의 발목잡기로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이 힘들어지고 있다는 비판론이 힘을 얻으면서 7.30 재보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