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자료사진)
국제 금융시장 불안정에 대응하기 위해 아시아 국가들이 금융협력 기구를 만들어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3일 한국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 주최로 열린 '아시아 금융의 미래' 콘퍼런스에서 국제금융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아시아 역내 금융통합 문제가 논의됐다.
콘퍼런스에서 가와이 마사히로 도쿄대 교수는 "아시아 지역에서 각국 재무부, 중앙은행, 규제 당국 등이 참가하는 자체적인 금융안정 포럼을 설립해 아시아 지역 내에서 시스템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금융기관들을 파악하는 동시에 국경에 구애받지 않고 해당 금융기관을 감독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계은행(WB) 수석 이코노미스트 등을 역임한 가와이 교수는 1990년대부터 서구 자본에 대응하기 위한 아시아 지역 금융통합의 필요성을 제기해왔다.
콘퍼런스에서 이완 아지즈 아시아개발은행(ADB) 국장도 아시아 국가들의 '위기 공동 대응체계' 마련을 제안했다.
아지즈 국장은 "중국의 그림자 금융 문제 등 금융통합으로 국가 간 상호의존성이 커진 데 따른 부정적 충격이 발생하면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데 위험에 대한 대응은 여전히 개별 국가 차원에 머무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 이주열 한은 총재 "아시아 역내 금융통합 한단계 더 발전시켜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개회사를 통해 "아시아 각국이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해 역내 금융통합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야 한다"며 아시아 국가간 금융 협력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변동성 확대 위험이 적지 않은 현재 국제금융시장의 상황이 아시아 신흥국에 있어서는 큰 도전이자 기회"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시아 국가 간 금융통합을 진전시키기 위해 "무엇보다 일부 국가의 금융불안이 역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미시·거시 건전성 정책 등 금융부문의 복원력을 높이는 정책체계를 마련하고,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규제체계를 확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특히 양자간·다자간 역내 금융안전망 강화를 강조하면서 "한국이 중국, 인도네시아, 호주 등과 통화 스와프를 체결한 것도 이런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