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 IT와 금융을 융합한 ‘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해 각종 규제 완화대책이 제시되고 있으나 금융업계는 보안사고 우려 때문에 좌불안석이다.
핀테크는 금융거래를 할 때 지급결제 방식을 단순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금융거래의 편의성을 높여줄 것으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앞으로 시장규모는 보다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 2분기 국내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는 3조 1,93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배 이상으로 늘었다.
전세계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는 지난해 363조원에서 2017년에는 756조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알리바바와 애플 등 글로벌 IT사업자의 지급결제 시장 진출이 가속화하고 있고 영국을 비롯한 금융 선진국은 핀테크 산업 육성 방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우리 정부도 핀테크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규제를 대폭 완화하기로 했다.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출시할 때마다 받아야 했던 보안성 심의와 인증방법 평가제도가 전면 폐지된다.
규제 완화가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그만큼 보안사고의 위험도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금융사고가 발생하면 IT회사도 공동 책임을 지도록 하고 전자금융업자의 책임이행보험 최저한도도 높였다.
또 금융권역별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구축 및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금융권에 관련 시스템 구축을 독려하고 있다.
FDS는 사용자의 거래패턴을 파악해 이상거래로 의심될 경우 걸러내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아직 시중은행 17곳중 7곳은 구축이 안됐다. 주요 증권사 32곳 중 24곳도 도입하지 않은 상태다.
{RELNEWS:right}사후 보안 체계인 FDS외에도 생체정보 등 강력한 사전 보안체계를 구축해야 하지만 큰 진전이 없는 상태다.
보안사고에 가장 예민한 곳은 금융업계다. 농협은행 우석원 부행장은 “모든 은행권의 가장 큰 고민은 보안이 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안사고가 터졌을 때의 책임 문제”라고 밝혔다.
우 부행장은 이어 “일단 보안이 보장되지 않는 신기술 도입은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며 “기술이 검증되면 점차 도입할 수 도 있다”고 덧붙였다.
편리함 때문에 주목받고 있는 핀테크는 보안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사상누각이 될 수 있다. 보안사고를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다양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