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70년을 맞는 오늘 일부 도로는 여전히 친일의 자취를 담고 있는 반면, 기존에 담겨 있던 독립운동가의 흔적은 도로명에서 배제된 것으로 드러났다.
◇ 친일의 자취 인촌로 조방로…"명칭 변경 어려워"25일 행정자치부와 독립기념관에 따르면, 서울 성북구와 전북 고창군에는 '인촌로'가 있다.
인촌은 고려대학교 설립자 김성수의 호(號)로, 성북구에는 고려대가 위치해 있고 고창군은 김성수의 고향인 탓에 이 같은 도로명이 붙었다.
서울 성북구에 있는 '인촌로' (사진=박종민 기자)
문제는 김성수가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에 의해 지난 2009년 친일 인물로 규정됐다는 점이다.
그가 일제 강점시기 전국 일간지에 조선총독부의 태평양전쟁 동원을 위한 징병과 학병을 찬양하며 선전·선동을 하는 글을 지속적으로 기고했다는 이유 때문이다.
인촌기념회와 후손은 위원회 결정에 대해 취소 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관할 구청은 법원의 최종 판결이 어떻든 도로명 변경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성북구청 관계자는 "이에 대한 민원이 단 한 건도 없기 때문에 바뀌기는 힘들 것"이라며 "재판에서 친일파라고 최종 결정된다 해도 현행법상 구에서 도로명 주소를 변경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부산의 경우 범일동 시민회관 인근 도로가 '조방로'로 명명돼 있다.
1968년 사라진 '조선방직'의 이름을 딴 것으로, 일제가 면사방직과 판매를 위해 설립한 조선방직은 시민지 시대 우리 민족에 대한 가혹한 노동탄압으로 악명을 떨쳤다.
이 때문에 1943년 조선방직 파괴를 시도하다 체포된 독립운동가 이광우의 아들이, 1인 시위를 하면서까지 명칭 변경을 요구했지만 그 이름은 아직도 유지되고 있다.
◇ 항일의 뜻 새긴 도로명, 있던 것조차 사라져
'명동우당길'은 2010년 도로명 주소 체계화에 따라 '명동11길'로 변경됐다 (사진=박종민 기자)
반대로 독립운동가의 호를 딴 도로명은 단순한 일련변호로 교체돼 사라지기도 했다.
서울 중구청은 지난 2007년 YWCA 정문에서 을지로로 이어지는 길을 '명동우당길'로 이름 붙였다.
항일무장투쟁에 전 재산을 바치며 만주에 독립군지도자 양성을 위한 신흥강습소(이후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한 이회영의 호를 따, 그의 집터 인근 도로를 명명한 것.
하지만 2010년 서울시의 도로명 주소 체계화에 따라 '명동11길'로 변경돼 '우당길'이라는 이름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와 함께 항일 독립운동의 뜻을 기릴 수 있는 여러 사적들이 있음에도 도로명에는 거의 활용되지 않는 것으로도 조사됐다.
독립기념관의 분석 결과, 독립운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적지는 서울에 모두 151곳이 있지만 그 역사적 의미를 오롯이 담고 있는 도로명 주소는 종로구의 '삼일대로' 한 곳뿐이었다.
도로명은 지역적 특성과 역사성 등을 함께 고려해 부여한다는 행정자치부의 방침에도 정확히 부응하지 못하는 셈이다.
이에 대해 민족문제연구소 방학진 사무국장은 "일본의 반역사적 행태를 비판하기에 앞서 스스로의 역사 의식을 반성해야 한다"면서 "도로명에 또 다른 역사적 문제가 없는지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역사성이 반영된 길 이름을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시민들과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NEWS:right}
한편, 광주 서구 '백일로'의 경우 간도지역 독립군 토벌부대에서 활동했던 김백일의 이름에서 유래해 논란이 이어졌고, 시민들의 문제제기에 따라 다음달 '학생독립로'로 그 명칭이 바뀔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