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꼭 한국의 인상으로 이어져야 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보였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최 부총리는 17일(현지시간) 워싱턴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미국의 금리 움직임 뿐 아니라 주변 국가나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을 종합해 한국은행에서 판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 부총리의 언급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올해, 특히 오는 9월 이후에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커지는 가운데 나왔다.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신흥국가에서 자본이 유출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한국에서도 자금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돼 았다.
이와 관련해 최 부총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자본이 유입되는 상태지만, 만에 하나 있을 가능성에 대비해 안전장치를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날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필요하다면 하반기에 추가 부양책을 펴겠다"고 말한데 대해 최 부총리는 "원론적 얘기"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정책 시행의 효과를 보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린다"며 "상반기까지 (현재대로) 운영해 본 다음에 필요하다면 하반기에 보강도 하겠다는 원론적 얘기였다"고 풀이했다.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한국이 얼마나 지분을 갖게 될지에 대해 최 부총리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으로 할지 구매력환산 기준으로 할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3에서 5%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예상했다.
최 부총리는 "오는 26일부터 27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AIIB) 창립멤버 회의가 있고 그 자리가 (지분 배분 기준 제정 같은) 원론적 대화를 시작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가 AIIB에 출자하면서 외환보유액이 줄어들어 유동성 문제가 생기는게 아니냐는 우려와 관련해 최 부총리는 "국제기구 출자금은 외환보유고로 취급된다"고 설명했다.
AIIB의 사회기반시설(인프라) 투자 활동이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줄 지에 대해 최 부총리는 "지역 내에서 인프라 수요가 늘어나면 (우리나라 기업의) 일거리가 많이 나오고, 우리 기업의 (인프라 건설 관련) 경쟁력이 탁월하다는 측면에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