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기업/산업

    기업인 비리 도미노 ‘돈 앞세운 甲질’

    경제단체 자정선언, 윤리경영 실천 절실

    경남기업 성완종 전 회장 (윤성호 기자)

     

    최근 기업인들의 각종 비리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터지고 있다.

    비리 유형도 백화점식 천태만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른바 ‘성완종 게이트’는 그동안 깨끗해진 줄 알았던 정치권에 기업과의 부패 고리가 여전했음을 확인시켜준 사건으로 기록됐다.

    성 전 회장의 정치인 금품 전달 의혹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비자금 조성을 통해 정치권에 흘러 들어간 검은 돈의 흐름이 매우 깊숙하고도 광범위하게 이뤄졌음을 짐작케 했다.

    포스코 정준양 전 회장

     

    원정도박을 벌인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도 회사 돈으로 비자금을 만들고 86억원의 판돈으로 도박을 했다.

    비자금 조성관련 비리는 포스코가 더 교묘했다.

    포스코 건설은 베트남 고속도로 공사를 하면서 40억원을 조성하도록 지시하고 이 중 일부를 전 부회장이 전달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포스코는 그룹 차원의 비리 의혹으로 정준양 전 회장까지 검찰 수사의 사정권안에 들어 있다.

    막말파문에 이어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비리 의혹과도 연관된 박용성 전 두산중공업 회장의 행태도 국민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중앙대 전 이사장이었던 박 전 회장은 대학 구조조정과 관련해 교수들의 목을 치겠다고 막말파문을 일으켰으나 결국 본인의 목이 날아간 꼴이 됐다.

    박용성 전 중앙대 재단 이사장이자 두산중공업 회장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도 지내고 남북경제협력 사업에도 앞장 선 신원그룹의 박성철 회장은 수십억 원 대 탈세로 평소 ' 믿음의 기업'이라는 광고를 무색하게 했다.

    이 같은 기업인 비리 도미노 현상에 대해 권오인 경실련 경제정책팀장은 ‘돈을 통한 갑질’이라고 규정했다.

    권 팀장은 “기업인, CEO들의 비리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며 “윤리의식과 함께 근절하기 위한 자정 노력이 여전히 요원하다”고 꼬집었다.

    또 조성호 홍익대 경영학과 교수는 “기업인의 경우 법의 심판보다 더한 사회적 규범을 스스로 적용해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NEWS:right}

    기업인의 사회적 책임 실종에 대해 전경련, 대한상의 같은 경제단체들이 스스로 진정성있는 자정선언과 함께 윤리경영 실천을 다짐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