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재보선 개표 결과
4.29재보궐 선거의 두 키워드는 압승과 전패다.
국회의원 4명을 뽑는 4.29 재보궐 선거에서 새누리당이 수도권 세 곳을 석권하며 압승을 거둔 반면에 새정치민주연합은 광주마저 무소속 천정배 후보에게 내주는 '영패'를 당했다.
새정치연합은 정치적 텃밭인 광주와 서울 관악을을 무소속과 새누리당에 내줌으로써 연거푸 참패 충격에 휩싸였다.
새누리당은 지난해 7.30재보궐 선거에 이은 4.29재보선에서도 수도권을 싹쓸이했다.
광주의 심판이다.
3년 전에 광주에 내려간 목포 출신 천정배 의원이 광주 서구을에서 52.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새정치연합 조영택 후보를 23%p 차이로 따돌린 것은 야권에 던지는 메시지가 아주 크다.
광주가 새정치연합을, 문재인 대표를 심판했다고 볼 수 있다.
문재인 대표를 중심으로 한 새정치연합 지도부에 대해 준엄한 채찍질을 한 것이다.
투표율도 41%로 가장 높았고, 문재인 대표와 동교동계의 총동원에도 불구하고 광주 민심은 회초리였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사진=윤창원 기자)
이게 뭘 의미할까?
야당 쇄신과 지도부 교체, 더 나아가 호남 의원들의 물갈이를 요구한 것으로 읽힌다. 새로운 야당 진용을 꾸리라는 준엄한 메시지다.
광주 시민들과 수도권에 사는 호남 출신들을 만나 보면 지금의 야당으로는 안 된다는 말을 서슴없이 한다.
기모 씨(54·광주 서구 거주)는 29일 "자신의 투표 성향과 관계없이 천정배 전 의원이 당선될 것"이라며 "이번에 천정배를 당선시켜 야당을 쇄신하게 하자는 목소리가 많다"고 말했다.
이런 변화와 인적 쇄신의 기류를 새정치연합의 의원들, 지도부만 모른다는 것이다.
이런 민심의 소재를 읽지 못하고 경선이라는 틀을 동원해 무난한 후보를 내세웠으니 천정배 의원의 "호남 정치 복원론", "야권을 쇄신하겠다, 야권의 새판을 짜겠다"는 구호가 먹힌 것이다.
호남을 넘어 수도권까지 휘몰아칠 것 같은 야권 재편, 물갈이의 민심이 태풍으로 변해 새정치연합을 혼돈 속으로 빠져들게 할 조짐이다.
야당은 올 연말이 가까워질수록 분열의 후폭풍, 원심력에 휘말릴 가능성이 크다.
특히 호남을 기반으로 한 야당이 출현할 수 있고, 친노와 비노가 분당의 길로 치달을 개연성도 있다.
문재인의 위기다.
문 대표는 30일 오전 10시 정책조정책회의에 참석해 4·29재보궐선거 패배와 관련한 입장을 밝힌다.
당 대표를 사퇴하지는 않을 것으로 알려졌으나 수습이 쉽지 않을 것이다.
4.29 재보선에서 당선된 천정배 의원
문 대표 체제로 내년 총선을 치를 수 있을까라는 회의론이 시간이 갈수록 팽배해질 것이며 지도체제 개편론이 나올 수도 있다.
이런 참패 사태를 예견한 사람들이 지난해 12월 문재인 대표의 당 대표 출마를 만류했던 것이다.
현 야당은 노무현 정권 때부터 이명박 정권, 박근혜 정권에서 내리 치러진 재보궐 선거에서 단 한 번도 승리하지 못하고 패배의 수모, 굴욕을 안았다.
재보선은 여당의 무덤이 아니라 야당의 무덤이다.
거듭된 참패를 '무능'과 '구태'로 설명할 수밖에 없다.
새정치연합은 박근혜 정권과 여당 심판론이 먹히지 않는다는 사실을 지난해 7.30재보궐 선거에서 뼈저리게 경험했으면서도 이번에도 정권 심판론을 들고 나왔다.
지난해 7.30땐 세월호 심판론을, 이번엔 성완종 리스트 심판론을 선거 구호로 정해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을 심판해달라고 외쳤다.
문재인 대표는 유세를 통해 박근혜 정권을 심판해달라고 호소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29일 오후 여의도 당사에 설치된 선거상황실에서 당선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국민은 민생과 막막한 살림살이를 개선해달라고 요구했으나 야당은 여전히 2000년 중반까지의 구호인 정권 심판론에 매달렸다.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권 때까진 정권 심판론이 야당(지금의 새누리당)의 재보선 단골 구호였고 실제로 효과 만점짜리 선거 전략이었다.
그 효능도 노무현 정권의 심판론으로 끝났고 그 정점이 지난 2007년 12월 대선이었다.
경제가 어려우면 어려울수록 정권 심판론이 먹히지 않는데도 야당은 '썩은 동아줄' 같은 정권 심판론을, 새누리당이 효과를 톡톡히 본 전략·전술을 그대로 본떠 사용했다.
올 1사분기까지의 지난 1년 동안 경제성장률이 0%대에 머무는 등 경기 침체가 자심하며 서민층의 살림살이가 요즘처럼 빠듯한 적이 없을 정도로 경제위기다. 전셋값 폭등 등으로 인한 국민의 아우성과 한숨소리를 달래줄 야당의 선거 전략에 없었다.
경제 정당이라는 구호를 선정했으면 국민이 알아주든 몰라주든, 천지가 개벽하더라도 경제정당, 민생정당을 지향하고 경제정당이 되도록 기회를 달라고 읍소를 했어야 했는데 성완종 파문이 나니까 경제정당론을 팽개치고 바로 정권 심판론으로 나왔다. 구태를 버리지 못했다.
새정치연합의 전략·기획·홍보팀의 무능이자 구태가 이번 선거에서 여지없이 노정됐다.
문재인호가 무능하지 않고서야 정치권을 싸잡아 비판하고 있는 성완종 리스트 파문을 선거에 이용하려고 했으니 민심이 냉담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국민은 '여당보다 우리는 깨끗하다'는 야당의 주장을 오만으로 본 것이다.
성완종 사면론은 여권의 물타기였으나 국민은 물타기로 받아들이지 않고 '초록은 동색'으로 오물을 뒤집어썼다고 받아들인 것이다.
왼쪽부터 국민모임 정동영 인재영입위원장과 천정배 의원 (자료사진)
야권 분열도 일종의 구태라고 볼 수 있다.
분열의 직접적 책임은 천정배 의원과 정동영 전 의원에게 있지만 이를 막지 못한 책임은 야당 지도부의 몫으로 남는다.
천정배 의원의 서울 관악을이나 광주 출마가 기정사실로 예견됐음에도 당 지도부는 그의 출마를 막기 위한 그 어떤 정치적 노력도, 대책도 세우지 않았다.
가만히 앉아 있다가 야권 분열에 따른 패배를 맛봤다.{RELNEWS:right}
관악을이 분열되지 않았다면, 특히 경선 과정에서의 잡음이 없었다면 27년 만에 새누리당 오신환 후보가 당선되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무능과 구태가 깊숙이 뿌리박힌 현재 야당의 모습으론 내년 총선도, 2017년 대선도 야박한 전망일지 모르겠으나 어려울 것이다.
전면적인 인적교체와 물갈이, 당 운영 쇄신을 위주로 한 환골탈태가 요구된다.
국민참여경선제란 야당 지도부와 현역 의원들에겐 더할 나위 없는 제도이겠으나 국민은 그들만을 위한 리그, 그들의 독주체제 구축 틀로 받아들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