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내년 총선 '오픈프라이머리' 물건너 가나?



부산

    내년 총선 '오픈프라이머리' 물건너 가나?

     

    내년 20대 총선을 앞두고 여,야가 앞다퉈 도입을 주창했던 완전국민경선제 즉 '오픈프라이머리'가 현장에서는 사실상 수면 아래로 가라앉고 있다.

    '오픈프라이머리'는 시민들이 직접 공천과정에 참여하는 것으로 지역여론을 가장 확실하게 반영하는 방법이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명분으로 강력하게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의원총회에서 공개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도입을 못 박았고,새정치민주연합도 문재인 대표가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지만 선거를 11개월 정도 남겨둔 시점에서 여,야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아 현장에서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총선 공천경쟁에 나선 대부분의 여,야 주자들은 기존방식에다 국민여론을 추가로 반영하는 방식으로 후보를 선출하는 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이고 있다.

    또,전략공천으로 약세지역에 거물급을 영입해 투입하는 승부수를 던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오픈프라이머리'가 이처럼 총선 표밭에서는 뒷전으로 밀리는 것은 시기적으로 이미 늦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특히,'오픈프라이머리'가 도입될 경우 현역의원이 조기에 기득권을 내려놓게 되지만 여전히 절대적으로 유리한 방식이어서 받아 들이기 어렵다는 분위기이다.

    부산지역에서 새누리당 총선 공천에 도전한 한 주자는 "적어도 4년에서 10년이상 지역을 관리하고 주민들과 접촉해온 현역의원을 당할 후보는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새롭게 도전신인들이 거대한 절벽같은 현역의원에게 어떻게 도전할지 궁급하다"고 밝혔다.

    다른 주자는 "이미 현장에서는 책임당원 확보경쟁을 마무리하는 등 기존공천방식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여,야가 정치개혁차원에서 조속히 도입하지 않으면 '오픈프라이머리'는 또다시 국민을 속이고 정치불신을 가중시키는 수사에 불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처럼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각 주자들은 당원과 지역주민 모두를 아우르는 선거운동에 주력하고 있다.

    부산지역에서 새누리당 공천경쟁에 나선 주자들은 책임 당원 확보와 관련해 날선공방을 벌이는 등 공천경쟁은 더욱 뜨거워 지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