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문재인, 공천개혁으로 승부수...현역 평가지수 도입



국회/정당

    문재인, 공천개혁으로 승부수...현역 평가지수 도입

    "당이 너무 늙었다" 정치 신인에 유리한 공천제 강구...비주류 반발일듯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4일 발표하려고 했던 '당원에게 드리는 글'에는 현 내홍 사태를 정면돌파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엿보였다.

    "사심을 갖고 위기를 가중시켜선 안 된다", "당 대표직을 온존하기 위해 부조리나 불합리와 타협하고 싶지는 않다"는 등 비주류를 향한 감정을 숨김없이 드러내기도 했다.

    이 글은 문 대표가 직접 작성하고 손질한 것으로 알려져 그의 생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볼수 있다.

    문 대표는 일단 비주류 측의 집요한 공세를 '공천 지분' 요구로 받아 들였다. "혹여 지도부를 무력화시켜 기득권을 유지하려 하거나 공천지분을 확보하기 위한 사심이 있다면 결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란 대목이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가 최고위원들의 만류로 문제의 글을 공식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어떤 경로에서든 유출되면서 비주류에 완강한 입장을 확인시킨 셈이다.

    한 친노 인사는 "보안이 지켜지지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비주류가 지분 요구를 할 수 없게 만들었다"면서 "이젠 공천 지분 나누기가 아니라 공천 개혁으로 방향을 틀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한 비주류 측 의원은 "우리가 지분을 요구한 것으로 이해했다면 그건 오해"라며 "문 대표가 공천권을 휘두르지 말고 내려 놓으라는 의미였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다음 총선 공천은 새로운 공천제도에 의해 투명하게 이뤄질 것"이라며
    본인도 자의적으로 공천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천명했다.

    이번에 구체적인 방안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현역에게 불이익을 주고 신인에게 유리한 제도를 도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표가 "유능하고 새로운 인물을 대거 영입해 외연을 확장해야 한다. 그러려면 공천제도를 혁신하고 개혁공천을 이뤄야만 총선승리를 담보할 수 있다"고 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핵심 당직자는 "최대한 정치 신인에게 유리한 방안을 찾고 있다"며 "우선 공천혁신단에서 마련한 4가지 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성처럼 신인에게 가점을 주거나 반대로 현역에서 감점을 주는 방법이 가능하다.

    특히 현역 의원 가운데 지역 민심을 반영하는 평가제를 도입해 일정 점수에 미달하면 공천에서 탈락시키는 방안도 강구 중이다.

    이럴 경우 상당수의 현역 의원들이 교체 대상에 오를 개연성이 크다.

    이를 통해 인적 쇄신을 이루고 인물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당 관계자는 "현재 야당은 여당보다 더 늙었다는 얘기를 듣는다"며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내년 총선의 국민참여경선 방식의 선거인단 구성비율인 '국민 60%+당원 40%'를 손질할 가능성도 있다. 이는 기존보다 국민참여 비율이 10%p 높아진 것으로 비노에서는 친노에게 유리하다고 반발하기도 했다.

    하지만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준다'는 이유로 국민 참여비율을 더 높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

    향후 공천 룰을 확정할 공천혁신위를 별도로 꾸리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 인사를 영입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문 대표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에 앞서 쇄신안 로드맵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후 구체적인 공천 혁신안을 통해 당 혼란을 잠재우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공천 혁신 방안을 놓고 비주류측의 반발이 예상돼 친노 대 비노의 대결구도는 쉽게 해소되기 어려워 보인다.

    현역 의원에게 상대적으로 불리한 제도가 도입될 경우 이에 대한 반발도 예상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