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사설] 미쓰비시의 미군 강제징용 사과 진정성이 의심된다



칼럼

    [사설] 미쓰비시의 미군 강제징용 사과 진정성이 의심된다

     

    일본 대기업 미쓰비시(三菱) 머티리얼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강제노동에 징용된 미군 포로들에게 공식 사과했다. 일본 대기업이 2차 대전 당시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공식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쓰비시 머티리얼 대표단의 기무라 상무는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징용 피해자인 제임스 머피(94) 씨를 만나 "2차 대전 당시 미국 징용 피해자 900여 명은 미쓰비시 탄광 등 4곳에서 강제노역을 했으며, 그 과정은 혹독했다"며 "머피 씨를 비롯한 미국 전쟁포로들과 그 가족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쓰비시는 앞으로 이 같은 전철을 다시는 밟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 캘리포니아 주를 비롯해 세계 각국에 나가 있는 미쓰비시는 인권을 존중한다"고 강조했다. 머피씨는 2차대전 중 필리핀에서 일본군에 포로로 붙잡힌 뒤 미쓰비시 탄광 등에서 강제노역을 해야 했다.

    뒤늦게나마 일본의 대기업이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해 사과를 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이번 사과가 진정성이 있는 사과가 되기 위해서는 미군 포로 뿐 아니라 당시 강제노역을 당했던 모든 피해자에 대한 사과가 이뤄져야 한다. 그래야만 국제사회가 미쓰비시측의 사과의 진정성을 인정하고 앞으로 같은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다짐을 믿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미쓰비시는 한국과 중국, 영국, 네덜란드 등 다른 나라 징용자들의 강제노동에 대해서는 사과하지 않았다. 특히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한국인 징용피해자에 대한 사과 의사를 묻는데 대해서는 답변을 회피했다.

    미쓰비시측은 오히려 한국 법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소송에서 사과와 배상의 의사가 없다는 뜻을 보여왔다. 광주고법이 지난달 미쓰비시 중공업을 상대로 제기한 징용피해 배상 소송에서 미쓰비시측의 배상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지만 미쓰비시측은 배상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물론 사과조차 하지 않고 있다.

    미쓰비시측은 특히 한국에서 진행된 재판에서 과거의 미쓰비시 중공업과 현재의 미쓰비시 중공업은 다르다는 논리로 배상책임을 회피하면서 대법원에 상고하며 시간끌기에 나서고 있다.

    반면 이번 미쓰비시 머티리얼측은 미쓰비시 광업을 계승한 회사로서 과거의 비극에 대해 윤리적인 책임을 통감한다며 미군 포로에 대해 사과했다. 한국인 징용피해자에 대해서는 과거 회사와 다르다며 사과와 배상을 거부하면서 미군 포로에 대해서는 현지에까지 찾아가 과거 회사를 계승한 회사로서 사과한다고 밝히는 이중적 태도를 보인 것이다.

    과거 강제징용자에 대한 사죄와 배상은 피해자가 미군이냐 아니냐를 떠나 모든 징용피해자들에게 똑같이 이뤄져야 한다. 그럴 때 국제사회도 미쓰비시의 사과의 진정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미쓰비시측은 먼저 한국 법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소송에서 피해자에 대한 사과와 배상 책임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