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국내 조선 3사가 저유가에 해양플랜트 악재까지 겹치면서 10년만에 동시 대규모 적자가 예상된다. 조선 3사는 올해도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이른바 국내 '빅3' 조선사는 올 2분기 영업 적자가 확실시 된다. 이들 3개사는 이르면 다음주, 늦으면 다음달 중순 쯤 순차적으로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 대우조선해양 2분기 손실액 최소 2조 이상…현대·삼성중공업도 부진 해양플랜트사업 손실 은폐 의혹으로 파문을 몰고 온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1분기에 433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하며 8년여만의 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2분기에 해양플랜트 부분에서 발생한 손실이 반영되면 2분기 손실액은 최소 2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채권단과 금융당국은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3조원 대 영업손실로 사상 최악의 실적을 낸 현대중공업은 올 1분기에 1924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데 이어 2분기에는 1000억원 수준의 흑자를 내는데 그칠 전망이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1분기에 영업이익 263억원을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에는 500여억원 규모의 소폭 흑자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조선 빅3가 대규모 동시 영업 적자를 예상하는 것은 2005년 1분기 이후 10년만이다.
10년전에는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외부요인으로 수백억원대 적자가 났다면, 현재는 해양플랜트 사업 부문에서 조 단위 손실이 발생했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 대우조선해양 손실 은폐 의혹 왜? 독(毒) 이 된 해양플랜트 사업조선 3사의 영업실적 악화가 지속되는 것은 저유가와 더불어 해양플랜트 사업의 영향이 크다.
국내 조선업계는 2010년 이후 유럽발 재정 위기의 영향으로 상선 수주가 급감하자 1기에 수십척 선박 발주 효과가 있는 해양플랜트 사업 부문으로 관심을 돌렸다.
그러나 국내 조선업계는 이 사업 분야에 경험이 부족했다. 결국 잦은 설계 변경과 공기 지연을 불러왔고 이는 공사비 상승으로 연결돼 손실 비용이 급격히 늘어나게 된 것이다.
또 해양플랜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절반 이상이 공사 끝 단계에 장착되는 고가 수입품이어서 인도를 앞둔 시점에 비용이 크게 늘어나게 된 것도 손실 급증의 한 이유다.
올해 해양플랜트 사업 부문에서 대규모 손실이 드러나는 것은 2012~2013년에 수주했던 플랜트 공사의 인도 시점이 다가오기 때문이다.
◇ 조선 빅3, 해양플랜트서 부문만 1년간 8조원 손실 "경험, 자체기술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