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중국 발 '금융위기 공포' 확산



금융/증시

    중국 발 '금융위기 공포' 확산

    자료사진 (사진 = 스마트이미지 제공)

     

    중국 정부의 거듭된 개입에도 불구하고 중국증시가 좀처럼 안정세를 찾지 못하면서 중국 발 금융위기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믿었던 정부 대책이 한계를 드러내면서 중국 정부가 외부로 드러난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한 실상을 은폐하고 있다는 우려와 불신이 커지고 있고, 이 같은 심리가 금융시장 불안을 더욱 키우고 있다.

    정부 주도의 중국 경제는 그동안 정부정책의 효과가 시장에서 즉각적이고, 강력하게 발휘돼 왔다. 그 만큼 정부 정책에 대한 시장의 신뢰로 컸다.

    그러나 지난달부터 시작된 주가 폭락 사태에서는 양상이 달라졌다. 강력한 부양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지만 얼마 버티지 못하고 급락세가 반복되고 있다.

    24일 상해종합지수는 11시 현재 6% 넘게 급락하며 3200대 중반으로 추락했다. 지난 6월12일 사상 최고치였던 5,178포인트에서 7월9일 3,373포인트까지 폭락한 이후 수차례에 걸친 중국정부의 강력한 부양책에도 불구, 폭락세가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중국 당국은 전날 증시부양을 위해 우리나라의 연기금에 해당하는 양로보험기금 1조5천억 위안을 주식투자에 허용하겠다는 대책을 내놓았지만 시장은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폭락 장을 연출했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를 믿었던 국제금융시장에서도 정책 효과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중국 사태를 파악하기 위해 홍콩 투자은행의 지인들과 통화해 보면 중국 정부가 뭔가를 숨기고 있는 것 같다는 언급을 많이 한다고 전했다. 중국정부를 신뢰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RELNEWS:right}가뜩이나 중국 정부와 금융시스템의 투명성이 결여된 상황에서 재정이나 금융시스템 등의 문제가 외부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심각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중국 주식시장의 문제는 엄청난 규모의 주식 담보 대출과 관련돼 있다. 주식 폭락으로 투자자들의 손실이 커지고, 이로 인해 금융기관이 부실해지면 중국 금융시장 전반의 시스템 위기로 확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리스크 관리와 책임소재가 여전히 후진적인 중국의 금융시스템을 감안하면 우려는 클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으로 인한 2008년 금융위기와 유사한 형태의 중국 발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비관적인 분석도 나오고 있다.

    더구나 수출, 소비, 투자 등 중국경제의 주요 실물지표가 일제히 악화되는 현실은 이런 위기론의 실체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