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금통위원 "최근 경제리스크에 대비책 마련하고 있다"



경제정책

    금통위원 "최근 경제리스크에 대비책 마련하고 있다"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정해방 금융통화위원은 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의 경기불확실성 등으로 우리 경제에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정부와 한국은행은 적절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위원은 26일 한은 출입기자단과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 "하반기 우리경제에 리스크가 많이 닥치고 있고 이에 대해 다양한 평가와 예측들이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정 위원은 "대외 리스크 가운데 가장 큰 문제는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의 정책금리 인상으로, 이로 인해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굉장히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위원은 또 "최근 증시 급락과 위안화 평가절하 등으로 증폭되고 있는 중국의 경기불확실성, 유가하락과 이에 따른 원자재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출국 등 일부 신흥 취약국들의 금융이나 실물경기 불안도 큰 위험 요소로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위원은 "정부나 한국은행에서 이런 리스크에 대해 여러 가지 전개상황을 주의 깊게 지켜보면서 적절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대개, 알고 있는 위기는 별로 위기가 아니고, 사실 위기는 급하게 닥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NEWS:right}최근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지만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지나치게 위기감을 느낄 필요는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정위원은 "최근 우리 경제가 국민들의 기대에 상당히 못미치는 완만한 수준의 성장세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는 세월호 사고와 메르스 등으로 내수부진이 지속되고, 글로벌 경제상황이 많이 나빠져서 전체적으로 경기가 둔화되는 영향도 있지만 인구구조의 변화와 분배구조 악화, 새로운 성장산업 부재 등의 구조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기 때문에 옛날처럼 높은 성장세를 회복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우리나라는 고도성장을 지속하면서 성장률을 중시하는 패러다임을 유지해왔지만 이제는 고용의 양과 질에 더 관심을 가질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정위원은 "성장을 하는 이유가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기 위한 것이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이미 수십년전부터 고용 없는 성장이란 말이 쓰이기 시작했다"며 국민의 생활과 괴리된 경제 성장률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금통위원 임명 문제와 관련해서는 일부에서 금통위원이 추천기관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문제제기가 있으나 이는 사실과 거리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