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8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마이크를 만지고 있다. (사진=윤성호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8일 당내 '친노패권주의' 주장과 민중총궐기대회에서의 야당의 역할이 부족했다는 질문에 강하게 대응하며 '발끈'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석한 문 대표가 처음으로 단호한 모습을 보인 것은 이른파 친노 패권주의에 대한 질문이었다.
문 대표는 "당내에서 최고 기득권이 문 대표를 비롯한 친노세력이란 인식이 있다. 대선 후보를 끝내고 얼마 안돼 다시 당 대표를 하시고, 주변 요직을 친노인사들이 많이 차지했다. 통합의 리더십이 부족한 것 아닌가 하는 지적이 있다"는 내용의 질문을 받았다.
조용할 날 없이 계속 이어지는 계파갈등에 대해 당 대표로서 책임이 있지 않느냐는 세간의 질책을 공식화한 질문이었다.
이에 대해 문 대표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딱 잘라 말했다. 그는 "당 대표가 되고 나서 두 번의 인사동안 친노 인사는 단 한 한명도 가깝게 임명하지 못했다"고 부인했다.
문 대표는 "지금 당직자들이 다 바깥에 (비주류 의원 모임인) 민집모(민주당집권을 위한 모임) 모임도 가고 비주류 모임도 가는 그런 현실"이라면서 "오히려 탕평을 보여줘야 한다는 그런 것이 지나쳐서 오히려 탕평을 하지 못하고 친노는 철저하게 배제하는 그런 인사를 했던 것이 우리 당의 현실"이라고 되받아쳤다.
최근 지도체제 문제를 둘러싸고 당 내 주류와 비주류 간 연일 잡음이 끊이지 않는 상황을 인식하기도 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표는 당내 현안에 대한 질문이 초반부터 가열차게 쏟아지자 당황한 듯 웃음을 지으며 "정책 이야기는 안하냐"고 묻기도 했다.
문 대표는 또 '문 대표가 여당 선거대책위원장이고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이 여당 선대본부장 같다'는 SNS글을 언급하며 야당이 제 역할을 잘 하지 못해 여당이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SNS를 통해 그렇게 말하는 것이) 무례하다는 지적은 왜 안하나"라고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그는 "새누리당의 '노동개악'에 대해 민주노총과 우리 당의 입장이 같다는 것이 무엇이 문제냐"라고 강한 어조로 되물었다.
그러면서 "'야당 복'이란 말도 있더라. 우리 당이 국민에게 희망을 못주고 있으니 정부여당이 저렇게 못하는데도 굳건하게 잘 버틴다는 뜻이지 않나. 저희가 아프죠"라고 인정하면서, "그래서 선거를 앞두고 이런저런 모색을 하고 있고 이것이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해 갈등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표는 "그러나 어떤 식으로든 이제 매듭이 지어질 것이고 우리 당은 국민들과 함께 정부여당에 대한 견제, 그리고 내년 총선에서 의회 권력의 교체에 나설 것"이라면서 "우리 당이 제대로 해내기만 한다면 국민들이 함께 정부여당의 독선과 독단, 민생경제 파탄, 이런 것을 심판해 주시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민중총궐기대회에서 야당의 역할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질문의 내용은 "1차 민중총궐기대회는 폭력사태로, 2차 대회는 평화적으로 끝났다. 1차 대회에서 민주노총과 새정치연합의 이미지가 중첩됐고, 2차 대회에서는 (평화시위를 주도하는)새정치연합의 존재감이 없었다"는 것이었다.
문 대표는 질문이 끝나자마자 탄식하며, "이 질문이야말로, 이렇게 편파적인 질문을 할 수 있는 것인가"라고 질문자에게 되물었다.
그는 "오히려 2차 민중총궐기대회에서는 우리 당이 주도적으로 나서서 평화를 주도했고 실제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경찰의 폭력적인 진압과 그에 맞서는 시위대의 폭력에 맞서는 시위에, 우리가 마치 시위대와 함께 (폭력을 행사)한 것처럼 말씀하시는데, 사실도 아니고 질문 자체를 좀 거두어주시면 좋겠다"고까지 말했다.
문 대표는 정부와 경찰의 태도를 문제삼으며 강한 어조로 비판을 이어나갔다.
그는 "모든 도로가 물샐틈없이 차벽이 쳐졌고, 시위대는 차벽을 열어달라는 요구를 하게 돼 있다. (이런 상황에서) 물대포로 공격해 69세의 노인이 지금 사경을 헤매고 있는데 경찰에서 어느 한 사람 사과하거나 위로 한마디 없고, 들여다보는 사람도 없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