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쌀값 폭락' 소비자 등치는 대형마트 '최고 30% 폭리'

경제정책

    '쌀값 폭락' 소비자 등치는 대형마트 '최고 30% 폭리'

    산지 쌀값 폭락에도 불구하고 소비자가격은 제자리

    국내 대형 유통업체들이 돼지와 닭, 계란 등 축산물(8일자 CBS노컷뉴스 한국은 '중국산 김치', 중국은 '한국산 김치' 먹는다) 뿐만 아니라 쌀에 대해서도 엄청난 중간 마진을 챙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 쌀값은 최저 수준까지 폭락했는데도 대형마트의 소비자 가격은 요지부동 꿈쩍도 않고 제값을 다 받고 있다. 헐값에 들여와 비싼 가격에 판매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롯데마트의 삼겹살 횡포와 관련해 뒤늦게 조사에 나선 만큼, 대형 유통업체들의 쌀 불공정 거래 여부에 대해서도 철저한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한 농민이 근심어린 표정으로 모판을 바라보고 있다. (사진=윤성호기자)

     

    ◇ 산지 쌀값 연일 하락

    민간 농촌연구소 GS&J에 따르면 지난 5일 산지 쌀값은 80kg 한 가마에 14만 6,56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6만 3,280원 보다 무려 10.2%나 떨어졌다.

    이 같은 전년 동기 대비 산지 쌀값 하락폭은 지난해 10월 8.0%, 11월 9.4%, 12월 9.9%로 갈수록 커지고 있다.

    GS&J 김명환 농정전략연구원장은 “소비는 줄고 생산량은 늘어나면서 2015년 단경기(7~9월)때 쌀값이 오히려 수확기(2014년 10~12월) 보다 4.5%나 떨어지는 역계절진폭이 나타나 민간 RPC들이 엄청난 손해를 봤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따라서 올해도 단경기때 3.2% 정도의 역계절진폭이 전망되면서 손해 볼 것을 우려한 RPC들이 농가들로부터 쌀 구입을 기피하면서 산지 쌀값이 계속해 하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 농협, 민간RPC 앞다퉈 시장 방출

    현재 쌀 유통 구조는 농민들이 쌀을 생산하면 일부는 정부가 공공비축미와 시장격리용으로 직접 매입하고, 나머지는 농협과 민간RPC가 정부로부터 장기저리 자금을 받아 수매하는 체계다. 일부는 농민들이 직접 시장에 내다팔기도 한다.

    이 같은 쌀 유통 과정에서 가장 큰 문제는 농협과 민간RPC들이 일단 정부 지원을 받아 쌀을 수매했지만, 역계절진폭으로 손해를 보게 되자 창고에 쌓아 놓지 않고 서둘러 시장, 특히 대형 마트 등에 내다 팔고 있다는 사실이다.

    창고에 보관해 봤자 어차피 쌀값은 떨어지고 관리비용만 늘어날 것이기에 더 큰 손해를 보기 전에 처분하고 있는 것이다.

    곡물 유통업계 관계자는 “현재 농협과 민간업자들이 그냥 내던지는 수준”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산지 쌀값은 당연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서울시내 한 대형 할인마트 (사진=자료사진)

     

    ◇ 헐값에 주워 먹는 대형마트.…소비자에게는 비싼 가격에 판매

    이처럼 산지 쌀값이 떨어져 농민과 농협, 민간RPC들은 아우성을 치고 있는데 거의 유일하게 웃고 있는 집단이 있다. 바로 대형 유통업체들이다.

    농협과 민간RPC가 안고 있는 한계상황을 이용해, 쌀 구입 단가는 최대한 낮추고 소매가격은 제값을 다 받고 팔면 되기 때문이다. 가만히 앉아서 이득만 취하면 된다.

    민간RPC 관계자는 “올해 산지 평균 쌀값이 80kg당 14만6,000원 수준인데 RPC가 포장을 해서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가격은 실제 이 보다도 낮다”며 “14만 원 이하 수준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10kg당 납품가격이 1만7,500원 정도라는 얘기다. 그런데,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소매가격은 브랜드에 따라 2만3,000원에서 비싸게는 2만7,000원에 달한다. 마진율이 최소 30%에서 많게는 40%가 넘는다는 결론이다.

    민간RPC 관계자는 “통상 쌀의 경우 대형마트의 마진율이 15~20% 정도가 적정 수준으로 평가해 왔는데, 산지 쌀값이 폭락하면서 유통업체의 마진율이 30%가 넘어섰다”고 전했다.

    그는 또, “산지 쌀값이 떨어지면 소매가격도 당연히 떨어져야 하는데, 소비자에게 돌아가야 하는 이득을 중간에서 대형 유통업체들이 낚아채면서 배를 불리는 상황”이라며 “납품가격을 올려주던지, 소비자가격을 낮추는 방식으로 마진율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쌀 할인행사는 미끼상품?…정부, RPC 키워 유통업체 견제

    이처럼 대형 유통업체들이 쌀 판매로 이득을 보고 있지만 실제 쌀 소매가격은 산지가격과 연동해 떨어졌다는 통계가 있다.

    {RELNEWS:right}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쌀 소매가격 하락률은 3.4%로 물류비와 포장비 등을 포함한 산지 쌀값 하락률 5.8%와 비교해 어느 정도 가격연동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기에는 함정이 숨어졌다. 대형 마트들이 수시로 쌀 할인행사를 벌이면서 소매가격을 낮추는 착시효과가 나타났다. 할인행사용 쌀은 주로 1년 이상 창고에 보관했던 구곡으로 어차피 할인 가격에 판매할 수밖에 없는데, 전체 쌀 소비자가격 인하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 유통의 가장 큰 문제점은 미끼상품이 너무 많다는 점”이라며 “소비자들은 산지 쌀값이 하락하면 소매가격도 함께 떨어져서 혜택을 본다고 착각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농식품부는 농협RPC를 한데 묶어 광역 단위별로 거점화를 추진하고 있다.

    지금은 소규모 RPC들이 대형 유통업체에 끌려 다니면서 소비자가격 결정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지만, 거대 RPC가 조직되면 대형마트와 대등한 관계에서 가격 결정을 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