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인류의 삶에 깊숙이 파고들 것이라는 시각이 힘을 얻는 만큼, 인간이 인공지능과 공존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인공지능이 몰고 올 미래 문명에 대한 기대와 우려의 시선이 교차하고 있는 것이다. 프로바둑기사 이세돌 9단과 바둑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의 다섯 차례 대국을 통해 불거진 현상이다.
이세돌 9단이 1~3국, 5국에서 알파고에게 내리 패하는 와중에 언론에서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았을 것"이라는 기사가 쏟아졌다. 3연패 뒤 4국에서 이세돌 9단이 첫 승을 따내자 초점은 '인간 승리'에 맞춰졌다. 누리꾼들의 의견도 "인간이 기계에게 질 수 없다"는 쪽으로 크게 기울어 있었다. 이번 대국이 인간과 기계의 대결 구도에만 머문 셈이다.
"인공지능한테 아직은 안 졌다. 인간이 이겼다는 것 자체가 기쁘다"는, 제4국에서 이세돌 9단이 첫 승을 거둔 뒤 만난 한 시민의 말에서도 이를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알파고는 이세돌 9단을 이김으로써 인공지능도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전 세계에 알렸다.
인공지능이 현실에 미칠 영향력 등을 연구하는 정지훈 경희사이버대 IT디자인융합학부 교수는 "인간의 가치판단을 인공지능이 하기는 아직까지 어렵다"면서도 "알파고는 탐색이 가능한 특정 분야에서는 인간을 따라잡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SF영화 등을 통해 익히 봐 온, 기계가 인간을 지배하는 암울한 미래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불거지면서 인공지능에 대한 혐오 분위기도 만들어지고 있다.
정 교수는 "예전 산업혁명 시절과 비슷해 보이는데, 그 시절 방적기가 나왔을 때 그걸 때려부수는 '리다이트운동'이 벌어졌다. 무엇보다 인공지능에 관한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며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일자리가 사라지는 만큼 새로 생기기도 할 텐데, 산업혁명에 비해 지금의 변화가 빠를 수 있다. 이 경우 자연스레 전환이 일어나지 않으니 사회에서 충격을 완화시켜야 한다"고 전했다.
알파고로 인공지능이 높은 관심을 얻자 정부는 최근 'AI 산업 활성화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정부 대책이 인공지능 산업의 특징을 외면한 채 내놓은 미봉책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정 교수는 "국내 인공지능의 발전 수준, 철학적 고민은 굉장히 소모적인데, 여전히 개발 독재시대의 중공업을 부흥시키던 시각에서 못 벗어나는 것"이라며 "인공지능은 정부에서 돈을 퍼붓는다고 되는 분야가 아니다. 인공지능은 혁신을 꾸준히 만들어가는 과정 속에서 변화를 이뤄 왔는데,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이 분야에 접근해 고민을 나누면서 작업을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인공지능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는 나라들은 현재 한국처럼 인공지능에 대한 소모적인 인식 수준에서는 벗어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