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외교문서] 潘 총장도 80년대에 DJ 동향 보고

국방/외교

    [외교문서] 潘 총장도 80년대에 DJ 동향 보고

    '북방외교' 문서 공개
    ▶ 潘 총장도 80년대에 DJ 동향 보고
    ▶ 5共, 재미교포 내 종북세력화 우려

    전두환 정권이 1980년대 중반 미국 체류중이던 김대중(DJ) 씨에 대한 감시 활동을 강화하는 가운데 훗날 유엔 사무총장이 된 반기문 당시 주미 참사관도 이에 적극 참여했던 정황이 드러났다. (사진=외교부 제공)

     

    전두환 정권이 1980년대 중반 미국 체류중이던 김대중(DJ) 씨에 대한 감시 활동을 강화하는 가운데 훗날 유엔 사무총장이 된 반기문 당시 주미 참사관도 이에 적극 참여했던 정황이 드러났다.

    외교부는 17일 생산된 지 30년이 지나 비밀해제 된 1985년도 외교문서(25만여 쪽)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1985년 1월 당시 미국 하버드 대학에서 연수 중이던 반기문 참사관은 대학 측으로부터 모종의 첩보를 입수, 주미대사관에 통보했다.

    이는 미국 유력 인사들이 DJ의 안전귀국을 요청하는 서한을 곧 한국 대통령에게 발송할 예정이라는 것이다.

    '김대중의 안전 귀국 보장 운동'(campaign to assure a safe return for KIM DAE JUNG)이란 단체가 주동하고 미국 학계와 법조계 인사 등 130여명이 연서한 이 서한은 DJ의 무사귀환과 대외활동 보장을 요구했다.

    반 참사관은 서명 참여자 가운데 백악관 안보보좌관을 역임한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교수와 아시아 문제 권위자인 에드윈 라이샤워 교수 등 거물급이 다수 포함돼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주미대사관은 이를 토대로 미국 조야의 여론을 분석하고 DJ의 동향을 탐지해 본국에 보고했다.

    DJ는 1980년 전두환 신군부 세력에 의해 내란음모죄로 사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 82년 12월 형집행 정지로 석방돼 미국으로 건너갔지만 현지에서도 민주화운동을 계속함으로써 전 정권에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특히 DJ가 84년 무렵부터 귀국을 추진하자 전두환 정권은 재수감 가능성을 흘리며 예민하게 반응했다.

    이듬해인 85년 벽두에는 DJ의 2월 초 귀국이 기정사실화되면서 곧이어 예정된 국회의원 선거와 한미정상회담에 미칠 영향에 한미 양국 모두 촉각을 곤두세웠다.

    대표적으로 우리 정부는 DJ 귀국시 동행취재하는 외국 언론에 대해 '김(대중)의 신변안전 보장' 관련한 '이해와 협조'를 명분으로 취재를 사실상 제한하려 했다.

    주한미군방송(당시 AFKN)에 대해서조차 한국내 언론의 보도내용 정도만 보도하도록 미측과 합의하기도 했다.

    미국 정부 역시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1월19일에는 워커 주한미국대사가 당시 이원경 외무부 장관을 면담, DJ 귀국은 한미관계 전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라면서 전 대통령 직접 면담을 요청했다.

    이에 이 장관이 대통령의 연초 일정이 바쁘다는 이유로 미온적 반응을 보이자 워커 대사는 '본건을 한미관계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서 백악관에서 직접 지시를 받고 있다는 점을 재차 말씀 드린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