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정부의 동물복지 정책에도 불구하고 버려진 유기동물을 관리하는 보호소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국내 유기동물 가운데 43%가 보호소에서 자연사하거나 안락사 처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유기동물 수는 지난 2010년 11만 마리를 정점으로 점차 감소추세를 보이며 2014년 8만1천여 마리까지 줄었으나 지난해 다시 8만2천여 마리로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유기동물 가운데는 개가 전체의 72.7%로 가장 많고, 고양이 25.9% 등이다.
이처럼 유기동물이 다시 증가한 것은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반려동물 주인들이 치료비와 사육비 등을 감당하지 못하고 내다 버리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유기동물이 늘어났으나 정부 지원을 받는 보호소는 오히려 줄었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유기동물 보호소는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운영하는 28곳과 민간 위탁 운영 279곳 등 모두 307곳으로 2014년 368곳에 비해 16.6%나 감소했다.
이는 보호센터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예산 지원이 부족한데다 잦은 민원 발생 등으로 민간위탁자들이 운영을 포기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 국내 유기동물 보호소에서 일시 수용이 가능한 동물 수는 2만2천여 마리에 불과하다. 연간 유기동물이 8만마리 이상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하다는 얘기다.
결국, 지난해 발생한 유기동물 8만2천여 마리 가운데 20%인 1만6400여 마리가 안락사 처리됐고, 22.7%인 1만8600여 마리는 자연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32%인 2만6200여 마리는 새로운 주인에게 분양됐고, 본래 주인에게 인도된 경우는 14.6%에 지나지 않았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는 "유기동물 한 마리당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관리비용이 평균 11만9천원으로 지난 한해에만 97억원이 들어갔다"며 "여기에 길고양이 중성화수술(TNR) 비용 31억원까지 포함하면 유기동물에만 128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현재 국내에선 유기동물에 대해 기간을 정해서 안락사 조치하는 규정은 없고, 치료 불가능한 병에 걸렸거나 전염병을 옮길 수 있다고 수의사가 판단할 경우 안락사 시키고 있다"고 전했다.{RELNEWS:right}
유기동물에 대한 안락사 조치를 가급적 자제하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국내 유기동물 안락사 비율은 지난 2012년 24.5%에서 지난해 20.0%로 감소했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반려동물은 모두 97만9천여 마리로 2014년 보다 10.2% 증가해, 반려동물 등록제가 2014년부터 강제 시행된 이후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 국내 동물 판매업소는 3288개로 2014년에 비해 무려 21.5%나 증가했으며, 동물장묘업소 또한 16개로 14.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