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내년 민영아파트 29만 가구 분양…올해보다 20% 감소

부동산

    내년 민영아파트 29만 가구 분양…올해보다 20% 감소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내년에 분양되는 민영아파트는 전국적으로 약 29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114는 "주요 건설사의 내년 민영아파트 분양계획을 조사한 결과, 전국 310개 사업장에서 29만8331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올해 분양물량 37만6077가구에 비해 20.67%(7만7746가구) 줄어든 규모지만 최근 5년 평균 분양 물량(29만4734가구)과 비슷한 물량이다.

    이는 11·3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분양시장의 기세가 꺾이면서 당초 올해로 예정됐던 분양물량이 상당수 내년으로 연기된데 따른 것이다.

    또 최근 2년간 분양시장이 호황을 누린데다 2015년 분양가 상한제 탄력 적용, 재건축 초과이익환수 폐지, 재건축 조합원 주택 수 완화 등 부동산 3법이 통과된 이후 사업환경이 개선된 재건축·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내년에 분양물량이 몰린 것도 한 이유다.

    실제 공급 유형별 내년 분양예정 물량의 39.58%인 11만8083가구가 재건축·재개발 물량이다. 주요 단지를 살펴보면 서울에서는 강남구 양천구 신정2-1지구, 영등포구 신길12촉진구역, 은평구 응암제2구역 등이 재개발 사업지에서 일반분양이 이뤄진다. 서울 강남구 대치1지구, 강동구 천호뉴타운2구역, 서초구 신반포6차 등은 재건축 일반분양으로 계획됐다. 지방에서는 부산 동래구 온천2구역, 울산 중구 복산1구역, 창원시 회원1,3,5구역 등 재개발 일반분양이 이뤄진다.

    내년에 분양되는 민영아파트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이 15만6658가구, 지방 14만1673가구에 이른다. ▲경기 9만882가구 ▲서울 5만4004가구 ▲부산 3만5261가구 ▲경남 1만8768가구 ▲충남 1만7530가구 ▲인천 1만1772가구 ▲강원 1만931가구 ▲충북 1만689가구 ▲대구 9505가구 ▲전북 8993가구 ▲울산 7538가구 ▲경북 7438가구 ▲대전 6449가구 ▲세종 3568가구 ▲광주 3323가구 ▲전남 1388가구 ▲제주 292가구 순이다.

    이 중 11·3 대책에 따라 전매제한 기간이 늘어난 '조정지역'에서는 7만9378가구가 분양된다. 올해 7만6622가구가 분양된 것과 비교해 보면 물량 감소 효과는 없다. 오히려 내년에 서울에서 분양물량이 대거 쏟아져 나올 예정이어서 조정지역 내 분양물량이 올해보다 2756가구가 늘어난다.

    세부 분양예정 단지를 살펴보면, 서울에서는 강남구 '청담삼익재건축' 1090가구, '개포힐스테이트' 1835가구, '래미안(개포시영)' 2296가구, 강동구 '고덕3단지재건축' 4066가구, 서초구 '반포센트럴푸르지오써밋' 751가구 등 5만4004가구가 분양예정이다.

    경기에서는 과천시 '주공6단지재건축' 2145가구, '주공1단지재건축' 1571가구, '주공7-1재건축' 1317가구, 성남시 '성남고등지구(S-1 B/L)' 578가구, 하남시 '하남감일지구' 2533가구, 남양주시 '다산신도시신안인스빌(B-3 B/L)' 1282가구, 화성시 '동탄2신도시예미지(C-7 B/L)' 837가구 등 2만3608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세종시는 '세종6-4생활권' 3100가구 등 3568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전매제한 기간이 늘어나지 않은 조정지역 이외 지역에서는 올해 분양물량(27만8026가구)보다 7만2123가구 줄어든 20만5903가구가 분양된다.

    주요 단지로는 고양시 식사동 '식사2도시개발GS' 2131가구, 김포시 고촌읍 '김포향산리힐스테이' 3506가구, 안산시 사동 '그랑시티자이2차' 2872가구, 부산 강서구 '명지국제신도시(2·3BL)' 2936가구 등이다.

    부동산114는 "하지만 내년 실제 분양물량은 계획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조정지역의 전매제한 기간이 늘어나고 1순위 제한과 재당첨제한 등으로 주택 수요자의 청약통장 사용이 신중해지면서 건설사가 공격적으로 분양을 진행하기 어려워진 데다 대출규제도 강화되면서 분양시장이 한풀 꺾였기 때문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