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경제 일반

    무개념 AI 방역, 살처분장 '아무나 출입'

    역학조사위원회 "정부, 방역 미숙 책임 커"…방역 메뉴얼 있으나마나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자료사진)

     

    이번 조류인플루엔자(AI)는 철새가 1차 원인이지만 정부와 농장들이 방역활동을 잘못해 확산된 것으로 드러났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0일 대학교수와 부처 관계자, 철새전문가 등 32명이 참석한 가운데 역학조사위원회 AI 분과위원회를 개최해 방역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역학조사위원회는 국내 AI는 겨울철새의 번식지인 중국 북쪽지역에서 감염된 철새가 국내로 이동하면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발생 양상은 철새에 의해 여러 지역이 오염된 상태에서 사람과 차량, 작은 야생조류 등 오염원이 개별 농장에 들어가 기계적 전파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재홍 위원장(서울대 수의학과)은 "수평 전파가 확인된 것이 4건이다"며 "추가 사례가 없는지 조사가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기존 방역대 내에서 발생농장이 증가하고, 방역대 자체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AI 발생 농장을 중심으로 반경 10km를 방역대로 지정해 소독과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AI 발생 초기에는 방역대가 15개였으나 20일 후에는 24개, 30일 후에는 53개로 급증했다. 이는 수평전파를 막기 위한 강력한 조치인 방역대가 뚫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위원장은 "전체적으로 방역을 소홀히하면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무엇보다도 방역관련 메뉴얼인 SOP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살처분 현장에서 음식배달을 시켜 먹는 등 출입관리 조차 이뤄지지 않았고, 살처분 인력이 1~2주 동안 다른 농장으로 못가도록 돼 있지만 사후 점검조차 안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역학조사위원회는 이번 바이러스 전파양상을 볼 때 광범위한 지역이 오염돼 있기 때문에 단편적인 소독보다는 광역 소독체계 도입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현장방역관 교육강화와 신속한 살처분 실시, 동원 인력·장비 등에 대한 철저한 관리 강화를 주문했다.

    특히, 거점소독시설이 바이러스 전파 차단을 위한 곳이지만 주변 관리를 잘못하면서 교차오염의 온상이 되고 있다며 특단의 개선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역학조사위원회는 이와 함께, 발생농장별로 이번에 발생하게 된 이유를 분명히 밝혀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농장 스스로도 방역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