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자료사진)
박근혜 전 대통령의 '부신 기능저하증'에 대한 진단 기록이 대통령 공식 건강진단 기록상에는 '정상 범위'로 나왔지만, 비공식인 차움병원 진단기록에는 심각한 상태였던 것으로 드러나 조작 가능성마저 제기된다.
이에따라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대통령 진료체계가 완전히 붕괴한 것으로 보고 자문의였던 김상만 녹십자아이메드 원장을 추궁했지만, 구체적 경위는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재직시절 이른바 '부신 기능저하증'으로 만성피로에 시달리면서 김상만 전 자문의는 물론 주사 아줌마, 기치료 아줌마 등 이른바 비선 또는 무면허 의료인들로부터 각종 주사 처방을 받은 사실이 확인됐다.
특히 박 전 대통령은 안봉근 전 청와대 비서관이 사적으로 아는 간호인까지 출입시켜 여러 비타민 주사제를 처방하기도 했다.
특검은 "안봉근이 아는 간호사까지 동원돼 심지어는 김상만 자문의도 모른 채 이중으로 주사약을 과다 처방하고 여러 비타민제를 처방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검은 "당시 대통령에게 주사 처방을 하면서 자문의나 의료 책임자는 물론 청와대 관계자도 동석시키지 않은 채 혼자 주사를 놓게 할 정도로 진료체계가 붕괴됐다"고 덧붙였다.
또 동원된 주사 아줌마 2명은 모두 무면허 전과로 처벌을 받은 전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비선 의료 진료에서 의문점이 풀리지 않은 핵심 의혹 가운데 하나는 박 전 대통령의 부신 기능저하증이다.
부신 기능저하증은 양쪽 콩팥 위에 위치하는 부신에서 결핵, 자가면역, 유전성, 종양 전이 등의 이유로 호르몬이 결핍되어 나타나는 질병이다.
이미 알려진 것처럼 박 전 대통령은 부신 기능저하증 때문에 만성피로를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대통령은 특히 만성 피로를 이유로 특별한 사정이 아니면 매주 수요일은 공식 일정을 잡지 않고 관저에서 휴식을 취했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날도 수요일이며 이때 박 전 대통령은 집무실에 나오지 않고 관저에 머물렀다. 이 때문에 세월호 7시간 의혹이 제기됐지만, 아직까지 명쾌하게 해명되지 않고 있다. 2014년 당시 4월 2일과 4월 9일, 4월 16일, 4월 23일, 5월 7일 등 매주 수요일마다 공식 일정은 없었다.
박 전 대통령의 부신 기능저하증에서 미스터리는 대통령 공식 건강진단 기록에서는 별 문제가 없었지만, 유독 차움병원에서 조사했던 비공식 건강진단기록에서는 심각한 문제를 드러냈다는 점이다.
특검은 비선 의료를 맡은 김영재,박채윤 부부에 대한 재판에서 "부신 기능저하증을 체크하는 요소 가운데 하나가 코르티솔(cortisol)농도인데 차움병원이 가진 박 전 대통령의 건강기록에는 '코르티솔 농도'가 정상수준의 1/10정도에 그칠 만큼 심각한 때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통령 공식 건강진단 기록에는 조사 시점이 채 2달 차이가 나지 않는데도 '코티솔 농도'가 정상범위에 들어와 있다"고 특검은 덧붙였다.
김상만 전 대통령 자문의. (사진공동취재단/자료사진)
특검은 세브란스 병원 등 내분비내과 의사들에게 자문을 받았다. 자문 결과 의료인들은 "지수가 그 정도로 현저하게 낮았다면 박 전 대통령이 만성피로와 식욕부진, 통증에 시달렸을 것"이라며 "그런데도 감초주사나 호르몬제 처방만 했다면 김상만 자문의의 처방은 위험하고 단기적인 것"이라는 답변을 얻었다.
특검은 "박 전 대통령의 부신 기능저하증이 심각한 상태인데도 김상만 전 자문의가 왜 혼자서 대통령의 주사제 처방을 따로 관리하고 대통령 주치의 등 청와대 공식 의료진과도 상의하지 않았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또 공식 건강진단 기록과 비공식 기록 사이의 차이와 관련해 조작 가능성마저 제기된다.
박 전 대통령의 '부신 기능저하증' 발병 원인을 놓고도 의문이 풀리지 않는다.
특검은 "부신 기능 저하 때문에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부족해지고 이에따라 김상만 자문의 등이 감초주사 성분의 스테로이드를 장기투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통령의 피로 증후군이 애당초 호르몬 부족으로 발생한 건지, 아니면 감초주사 같은 스테로이드를 장기 투여함에 따라 기능 저하로 발병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RELNEWS:right}